고려시대 계수관(界首官)인 청주목(淸州牧) 관내의 30개 역과 남경(南京)의 주군(主郡)인 수주(水州, 경기도 수원시) 관내의 4개 역을 관할하는 역로망이다.
『고려사』 권82 병지2 참역(站驛)에, “충청주도(忠淸州道)는 34개의 역을 관할하는데, 동화(同和)·장족(長足)·청호(菁好)[수주], 가천(嘉川)[양성(陽城, 경기도 안성시)], 율봉(栗峯)·쌍수(雙樹)·저산(猪山)·장지(長池)[청주], 장양(長楊)·퇴량(堆粮)[진주(鎭州, 충청북도 진천군], 연산(燕山)·금사(金沙)[연기(燕歧, 세종특별자치시), 포곡(蒲谷)[전의(全義, 세종특별자치시), 성환(成歡)[직산(稷山, 충청남도 천안시)], 신은(新恩)[천안(天安, 충청남도 천안시)], 금제(金蹄)[풍세(豐歲, 충청남도 천안시)], 장세(長世)[아주(牙州, 충청남도 아산시)], 창덕(昌德)[신창(新昌, 충청남도 아산시)], 이흥(理興)[온수(溫水, 충청남도 아산시)], 일흥(日興)[예산(禮山, 충청남도 예산군)], 광정(廣庭)·일신(日新)[공주(公州, 충청남도 공주시)], 탄평(坦平)[공주], 은산(銀山)[부여(扶餘, 충청남도 부여군)], 유구(維鳩)[신풍(新豐, 충청남도 공주시)], 유양(楡楊)[정산(定山, 충청남도 청양군)], 급천(汲泉)[이산(伊山, 충청남도 예산군)], 홍주역(洪州驛)[홍주(洪州, 충청남도 홍성군)], 광세(光世)[대흥(大興, 충청남도 예산군)], 금정(金井)[청양(靑陽, 충청남도 청양군)], 득웅(得熊)[여미(余美, 충청남도 서산시)], 몽웅(夢熊)[정해(貞海, 충청남도 서산시)], 영유(靈楡)[가림(嘉林, 충청남도 부여군)], 비웅(非熊)[홍산(鴻山, 충청남도 부여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에는 홍주역이 광세역과 함께 대흥군(大興郡)에 위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홍주에 위치한 것으로 수정하였다.
고려시대 충청주도는 승라주도(昇羅州道)·전공주도(全公州道)와 마찬가지로 고을 명칭인 충주(忠州)와 청주를 합쳐 만든 역도 명칭이다. 하지만 정작 계수관(界首官)인 충주에서는 충청주도 소속의 역 시설이 한 곳도 분포하지 않는다. 양광도의 계수관 고을인 청주목 관내에 30개의 역이 분포하고, 나머지 4개의 역은 남경 소속의 수주에 위치하였다. 따라서 역 시설의 분포와 역로망의 편성을 고려하면, 충청주도라는 역도 명칭은 적절하지 않다.
충청주도 역로망은 청주목의 주군인 공주·홍주·천안부 그리고 가림현(嘉林縣)의 오늘날 충청남도 지역에 넓게 분포하였고, 일부 북쪽의 역로가 경기도 수원지역으로 뻗어 있어 남경권역으로 연결되었다. 충청주도의 동쪽은 광주목(廣州牧)으로부터 남하한 광주도(廣州道)와 경상도 방면에서 청주목 인근에까지 편성되어 있던 경산부도(京山府道)에 접속하였다. 그리고 남쪽은 연산역에서 남하하여 전공주도(全公州道)의 평천역(平川驛, 충청남도 논산시)에 이르렀다.
충주와 청주의 고을 이름을 합쳐 만든 역도 명칭인 충청주도는 청주 관내에 역과 역로가 분포하지 않아 역도 명칭의 유래에서 예외적인 사례이다. 그렇지만 충청주도 내에 높은 산지나 큰 하천이 위치하지 않아 어려움 없이 상호간의 교통 활동이 이루어졌다. 또한 태안반도에 자리한 해상 최대의 험로인 안흥량(安興梁)을 피해 대체 경로로 인근의 육상교통망인 충청주도의 역로를 활발히 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