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관 ()

목차
관련 정보
개성 태평관 정측면
개성 태평관 정측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서울에 명나라 사신을 접대하기 위해 만든 국영의 객관(客館).
이칭
이칭
정동행성
목차
정의
조선시대 서울에 명나라 사신을 접대하기 위해 만든 국영의 객관(客館).
내용

조선시대에 외국 사신을 맞아 접대하던 곳으로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태평관·모화관(慕華館)·동평관(東平館)·북평관(北平館) 등이 있었다.

태평관은 명나라 사신을 접대하기 위해 숭례문 안 황화방(皇華坊)에 두었으며, 모화관 역시 중국 사신을 맞이하기 위해 돈의문 서북쪽에 지었다. 그리고 동평관은 일본 사신을, 북평관은 야인(여진)을 접대하던 곳이었다.

태평관의 유래는 고려시대의 정동행성(征東行省)을 태평관으로 고쳐 부른 데서 비롯되었다. 원래 정동행성은 일본 정벌을 위해 원나라 세조(世祖)가 세운 것이었으나, 몽고가 물러간 뒤 중국 사신의 숙소로 바뀌었다.

조선시대에 궁궐과 도성을 새로 창건하면서 1393년(태조 2) 정동행성을 고쳐 태평관이라 하였다. 그 뒤 1395년에 각 도의 인부 1,000여 명을 징발, 태평관을 신축하고 영접도감(迎接都監)의 관리 아래 두어 사신 접대소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었다.

중국 사신에 대한 영송은 대체로 칙사가 벽제관에 이르면 영접사(迎接使) 등을 파견하고, 왕은 왕세자 이하 문무 신하를 거느리고 모화루에 거둥, 영칙의(迎勅儀)에 따라 칙사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경복궁으로 안내해 칙서를 전달받고 다례(茶禮)를 베푼 뒤 태평관에 머물게 하였다. 이때 하마연(下馬宴)을 베풀어 대접하고, 그 다음 날 임금이 거둥해 익일연(翌日宴)을 베풀고, 국사를 논의하고 물러가면 다시 전별연(餞別宴)을 베풀어 전송하였다.

이와 같은 칙사영송 절차에 따라 양국 간의 현안 문제를 처리하는 등 태평관은 외교상 중요한 기능을 다하였다.

참고문헌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통문관지(通文館志)』
『여지도서(輿地圖書)』
『만기요람(萬機要覽)』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경기도읍지(京畿道邑誌)』
『송도지(松都誌)』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조병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