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

목차
관련 정보
개신교
단체
1921년,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태화여자관이란 이름으로 출발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여성사회사업기관.
이칭
이칭
태화 여자관, 태화 사회관, 태화 기독교 사회관
단체
설립 시기
1921년 4월 1일
설립자
미국 남감리회 여선교부
설립지
서울
상위 단체
태화복지재단
소재지
서울
전신
태화여자관, 태화사회관, 태화기독교사회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은 1921년,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태화여자관이란 이름으로 출발한 한국의 최초 근대적 여성사회사업기관이다. 부녀자복지와 아동보건, 공중위생, 여성계몽, 문맹퇴치, 여자야학, 우유급식 등 시대를 선도하는 사회복지 사업을 추진하였다. 1995년에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로 옮긴 후에도 지적장애자, 사회부적응자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목차
정의
1921년,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태화여자관이란 이름으로 출발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여성사회사업기관.
변천 및 현황

1921년 4월, 미국 남감리회 여선교부에 의해 '태화 여자관'이란 이름으로 서울 종로구 인사동 194번지에 설립되었다. 1933년 ‘태화 사회관’, 1953년 ‘태화 기독교 사회관’을 거쳐 1980년에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이 되었다.

이완용(李完鎔)의 소유였던 조선시대 ‘순화궁(順和宮)’ 건물을 명월관(明月館)이 임대해서 음식점으로 운영하던 중 1919년 3월 민족 대표 독립 선언식이 그곳에서 거행되었다. 그 후 매물로 나온 것을 미국 남감리회 여선교부가 사들여 수리한 후, 1921년 4월 1일부터 사업을 시작하였다.

1922년에 미감리회 여선교부, 북장로회 여선교부도 사역에 참여하여 초교파 연합 기관이 되었다. 여학교와 여자 성경 학원, 유치원, 진찰소 등을 설립하여 여성교육(女性敎育)주1, 아동 보건, 공중위생 사업을 추진하였다. 한국 최초의 근대 여성 주2 기관으로서 1922년 조선 여자 기독교 청년회(YWCA)와 1927년 근우회(勤友會)가 이곳에서 태동하였다.

1936년에 북장로회와 미감리회 여선교부가 사업에서 철수하였고 태화 여학교도 이숙종(李淑鍾)이 인수하여 성신여학교로 발전하였다. 1939년 11월, 3층 건물의 회관을 마련하였지만 1940년 11월, 선교사들이 추방당하고 태평양 주3이 발발하면서 주4’으로 처리되어 종로 경찰서가 건물을 차지하였다.

해방 후 1947년에 회관을 되찾았지만,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다시 중단되었다. 1953년, 휴전 후 아동 주5와 문맹 주6, 빈민 구제, 청소년 계몽 사업을 재개했다.

1980년, 서울 유린 사회관과 인천 기독교 사회관, 대전 기독교 사회관, 공주 기독교 사회관, 부산 기독교 사회관 등과 연합으로 ‘사회 복지 법인 감리회 사회 복지관 재단’(현, 태화 복지 재단)을 설립하여 선교부로부터 회관과 재산을 인수하였다. 1982년, 정부의 인사동 지역 재개발 계획에 의해 12층 규모의 빌딩을 지은 후 재단법인(財團法人)의 수익 주7 용도로 활용되었다.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은 1995년, 강남구 수서동 741번지에 지하 3층, 지상 6층의 새 회관을 지어 어린이집과 여성 주8, 주9, 청소년 복지, 가정 주10 상담, 정신 주11 지원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역대 관장으로 마이어즈와 에드워즈, 와그너, 빌링슬리, 올리버, 빌링스 등 여선교사들이 주12, 1963년부터 한국인 관장 시대가 열려 문인숙, 김선심, 박미희, 남경현, 김경희, 김현숙, 심정식, 윤연주를 거쳐 2022년부터 이아진 관장이 봉직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안신영, 『태화기독교사회관 50년사』 (태화기독교사회관, 1971)
이덕주,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역사』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1993)
이덕주, 최태육, 『태화100년사』 (태화복지재단, 2021)
주석
주1

17~18세기에 유럽에서 일어난 합리주의적 개화 운동. 중세적인 인습과 편견에 젖어 있는 사람에게 자율적이고 합리적인 판단력을 가지게 하는 운동이다. 우리말샘

주2

사회 공중의 생활 개선과 보호를 위하여 개인 또는 단체에 의하여 행해지는 사업. 구빈사업, 실업 보호 사업, 아동 보호 사업, 의료 보호 사업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3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과 연합국 사이에 벌어진 전쟁. 제이 차 세계 대전의 일부로서, 일본의 진주만 기습으로 시작되어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끝났다. 우리말샘

주4

자기 나라나 점령지 안에 있는 적국(敵國)의 재산. 우리말샘

주5

모든 어린이가 건전하게 태어나 행복하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그 생활과 환경을 갖추어 주는 일. 우리말샘

주6

글을 읽거나 쓸 줄 모르는 사람에게 읽고 쓰는 방법을 가르쳐서 글을 모르는 사람이 없게 하는 일. 우리말샘

주7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벌이는 사업. 우리말샘

주8

가정 폭력 따위로 인하여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는 여성들이 지낼 수 있도록 마련한 장소. 우리말샘

주9

부모가 나가서 일을 하는 동안 그 어린아이를 맡아서 보살피고 가르치는 사회 시설. 우리말샘

주10

가정 안에서 일어나는 폭력. 자식에 대한 부모의 폭력, 부모에 대한 자식의 폭력, 부부 사이의 폭력 따위를 모두 포함한다. 우리말샘

주11

지속적인 조현병, 분열형 정동 장애, 반복성 우울 장애 따위로 감정 조절ㆍ사고 능력이 원활하지 못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는 데 상당한 제한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우리말샘

주12

공직에 종사하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