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범 ()

개신교
인물
해방 후 세계종교사학회 실행위원, 감리교신학대학 학장, 한국종교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기독교 신학자. 목사.
이칭
해천(海天)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6년 1월 13일
사망 연도
1980년 1월 22일
출생지
경상북도 울진
주요 저서
『기독교와 한국문화』, 『성의 신학』, 『효』
주요 경력
감리교신학대학 학장, 한국종교사획회 회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윤성범은 해방 후 세계종교사학회 실행위원, 감리교신학대학 학장, 한국종교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기독교 신학자이자 목사이다. 해방 후 한국의 진보주의 신학계를 대표하는 신학자 중 한 명으로 ‘한국적 신학’을 제창하며 1960~1970년대 장로교 신학자들과 ‘토착화 신학논쟁’을 전개하였다.

정의
해방 후 세계종교사학회 실행위원, 감리교신학대학 학장, 한국종교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기독교 신학자. 목사.
인적사항

호는 해천(海天). 1916년 1월 13일 경상북도 울진에서 감리교 목사 윤태현과 장구규의 차남으로 출생하였다. 1941년 결혼한 이해영과의 사이에 5녀를 두었다.

주요 활동

남양 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38년 평양 광성고등보통학교, 1941년 일본 도시샤[同志社]대학[^1] 신학부를 졸업했다.

강화 흥천교회와 이천교회에서 목회하였고 1945년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46년 서울 감리교신학교(감리교신학대학교의 전신) 교수가 되었고 1954~1956년 스위스에 유학하여 바젤대학에서 바르트의 지도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감리교신학대학에서 조직 주2과 종교 주3을 강의하였다.

그는 서구 신학을 맹목적으로 답습하거나 추종할 것이 아니라 한국의 종교 문화, 철학 사상에 견주어 비교 분석, 해석함으로써 한국의 고유한 신학을 수립할 것을 주장하면서 이를 ‘한국적 신학’ 혹은 ‘토착화 신학’이라 명명하였다. 1963년 『사상계』에 발표한 “ 환인 · 환웅 · 주4은 곧 하나님이다”라는 논문을 두고 『기독교사상』을 통해 한국신학대학의 박봉랑, 전경연 교수와 논쟁을 벌였고 1967년 아세아연합신학대학의 한철하 교수, 1973년 장로회신학대학의 이종성 교수, 총신대학의 김의환 교수와 신학 방법론을 둘러싸고 신학 논쟁을 벌였다.

1960년 국제종교사학회 실행위원이 되었고 1970년 한국종교사학회를 창설하여 초대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1977년 감리교신학대학 학장으로 취임하여 봉직하던 중 1980년 1월 22일 서울 홍제동 자택에서 뇌내출혈로 별세하였다.

학문과 저술

대표적 저술로 기독교 신학과 유교 사상을 비교 분석한 『기독교와 한국사상』(1964), 『한국적 신학: 성(誠)의 신학』(1973), 『효(孝): 서양윤리 · 기독교윤리 · 유교윤리의 비교연구』(1977) 등이 있다. 이외에 『인간학』(1961), 『우리 주변의 종교』(1968), 『칼 바르트』(1968) 등을 남겼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경재 외, 『해천 윤성범의 토착화신학 그 기억과 꿈』 (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부, 2016)
유동식, 『한국신학(韓國神學)의 광맥(鑛脈)』 (전망사, 1982)
윤남옥, 『윤성범의 삶과 신학』 (한들출판사, 2017)
『윤성범 전집』 전5권 (도서출판 감신, 1998)

기타 자료

변선환, 「해천(海天) 윤성범학장님을 추모함」 (『신학과 세계』 9, 감리교신학대학교, 1983)
윤성범, '나의 생애와 신학', 『크리스챤신문』 (1976. 7. 3 ∼ 9. 11)
주석
주1

일본 교토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 1875년에 개교하였다. 우리말샘

주2

기독교의 교의(敎義)를 학문적 차원에서 계통적인 진리 체계로 나타내려는 신학. 특히 신론, 인간론, 죄론, 기독론, 구원론, 종말론 따위를 다룬다. 우리말샘

주3

종교의 보편적 본질, 의의, 가치 따위에 대하여 철학적 관점과 방법으로 연구하는 철학. 특정 종교와 그 신앙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신학과 다르고 경험 과학의 방법에 따르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교학과 다르다. 우리말샘

주4

‘단군’을 신격화하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