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은희 ()

개신교
인물
일제강점기, 경주교회와 전주 서문교회에서 목회한 장로교 목사이자 정치인.
이칭
이명
배은휘(裵恩輝)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8년 1월 15일
사망 연도
1966년 2월 5일
출생지
경상북도 경산
주요 저서
조선성자 방애인 소전, 기독교는 무엇인가, 나는 왜 싸웠나
주요 경력
경주교회 담임목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배은희는 일제강점기 경주교회와 전주 서문교회에서 목회한 장로교 목사이자 정치인이다. 경상북도 경산 출생으로 평양 장로회신학교 재학 중 3·1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고 태형을 받았으며, 경북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은 후 경주교회와 전주 서문교회에서 목회하였다. 해방 후에는 정치운동에 참가하여 고시위원장과 제2대 국회의원으로 활약했다.

정의
일제강점기, 경주교회와 전주 서문교회에서 목회한 장로교 목사이자 정치인.
인적 사항

일명 배은휘(裵恩輝). 1888년 1월 15일 경상북도 경산군 자인면에서 배옥운과 김봉선 사이의 장남으로 출생했다.

주요 활동

1919년 평양 장로회신학교 재학 중 평양 만세시위에 참가하다가 체포되어 39대를 맞았다. 1920년 경북노회에서 목사 주1를 받고 경주교회 담임으로 취임하여 교회 부속 계남학교를 육성하였다.

1921년 7월 전주 서문밖교회(현, 서문교회)로 옮겨 15년간 주2 1932년과 1936년 전북노회장을 역임하였고 전주유치원과 전주여자야학원, 전주고아원, 숭덕학교, 생민중학원 등을 설립하였다. 1927년 신간회의 전주 지부장으로 활동했고 1928년 강순명, 신현창 등과 ‘독신전도단(獨身傳道團)’을 창설하여 복음 전도와 농촌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36년 5월 건강 문제로 교회를 사임한 후 목회에 복귀하지 못했다.

해방 후 1946년 6월 서울 승동교회에서 개최된 조선예수교장로회 남부총회 회장으로 추대되었지만 정치활동에 본격적으로 뛰어 들어 독립촉성중앙협의회대한독립촉성국민회, 한국민족대표자회의 조직에 참여하였고 대한적십자사 전북지사장을 역임했다.

1948년 5월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전주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고 1948년 대한국민당 창건을 주도하고 최고위원이 되었지만 그해 9월 고시위원장에 임명되면서 탈당했다. 1949년~1951년 전국애국단체연합회 부회장, 민족진영강화위원회 상무위원, 구국총력연맹 부위원장, 국토통일촉진국민대회 준비위원회 대표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1952년 2월 경상북도 달성군(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대한국민당 후보로 당선되었으며 자유당으로 당적을 바꾸어 중앙위원을 지냈다.

이후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달성군 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고 1956년 4월 공화당 창당 때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지만 두 달 만에 탈당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구갑 무소속 후보로,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참의원 후보로 출마했다가 낙선하였다.

1966년 2월 5일 대구시 방촌동 자택에서 별세하였다.

사상과 작품

저술로 『조선성자 방애인 소전』(전주유치원, 1934), 『기독교는 무엇인가』(성서연구사, 1939), 『나는 왜 싸웠나』(일한도서, 1955) 등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수진, 『총회를 섬겨온 일꾼들』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배민수, 『나는 왜 싸웠나』 (일한도서, 1955)
『전주서문교회 백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 전주서문교회, 1999)
주석
주1

기도를 할 때 또는 성직 수여식이나 기타 교회의 예식에서, 주례자가 신자의 머리 위에 손을 얹는 일. 우리말샘

주2

사무를 보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