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역과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 역적을 토벌한 것을 기념하여 시행한 과거.
이칭
이칭
토역정시(討逆庭試)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시대
내용 요약

토역과는 조선 후기에 역적을 토벌한 것을 기념하여 시행한 과거이다. 국가의 경사를 기념하여 시행한 경과(慶科)의 한 종류이다. 공식적으로 토역과로 일컬어진 사례는 인조 대부터 등장한다. 시험 형식은 증광시, 별시, 정시 가운데 선택하였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역적을 토벌한 것을 기념하여 시행한 과거.
내용

조선시대에는 국가에 중요한 경사가 있으면 공식적으로 경축 의례인 진하례(陳賀禮)를 거행하고 과거를 시행하기도 하였다. 토역(討逆), 곧 역적을 토벌한 일은 조선 전기부터 빈번하게 보이지만 토역을 경사로 칭하고 과거를 시행한 사례는 인조 대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난다. 그 사례가 늘어나면서 ‘토역별과(討逆別科)’, ‘토역과(討逆科)’라는 용어도 등장하였다. 시험 형식은 일반적인 경과(慶科)와 마찬가지로 증광시, 별시, 정시 가운데 선택하여 시행하였다.

인조 대, 이괄의 난을 필두로 심기원 주1, 김자점 옥사, 경신환국, 신임옥사, 이인좌의 난, 을해옥사 등 정치적으로 중요한 사건을 처리한 후에 토역과를 시행하였다. 정조 · 순조 대까지 그 사례가 보인다.

토역은 정치적인 사건으로 집권 세력의 교체에 따라 그 의미가 번복되기도 하였다. 1680년(숙종 6), 남인이 실권한 경신환국 후에 시행한 토역과는 1689년 남인이 집권한 기사환국 후에 주2이 논의되었다. 1723년(경종 3년), 경종노론을 숙청한 신임옥사 뒤에 시행한 토역과는 원래 ‘토역정시(討逆庭試)’로 일컬었으나 영조 대에 공식 명칭에서 ‘토역’ 두 글자를 삭제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방목(國朝榜目)』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

인터넷 자료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주석
주1

반역, 살인 따위의 크고 중대한 범죄를 다스림. 또는 그 사건.    우리말샘

주2

과거에 합격한 사람의 발표를 취소하던 일.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