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제도
1882년(고종 19) 12월 4일, 외교 통상 사무를 관장할 목적으로 통리아문을 확충 · 개편하여 만든 중앙관청.
제도/관청
설치 시기
1882년(고종 19) 12월 4일
폐지 시기
1885년(고종 22) 4월 25일
내용 요약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은 1882년(고종 19) 12월 4일, 외교 통상 사무를 관장할 목적으로 통리아문을 확충 · 개편하여 만든 중앙 관청이다. 그 예하에 정각사(征榷司) · 장교사(掌交司) · 부교사(富敎司) · 우정사(郵程司)의 4사와 동문학(同文學)을 두었다. 1887년 4월 27일 직무 규정을 개정하여 종래의 4사 1학 체제를 총무사 · 교섭사 · 번역사 · 기록사 · 통상사 · 회계사의 6사 체제로 개편하였다.

목차
정의
1882년(고종 19) 12월 4일, 외교 통상 사무를 관장할 목적으로 통리아문을 확충 · 개편하여 만든 중앙관청.
내용

1882년 12월 4일, 통리아문을 개칭한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외아문)은 1883년 1월 20일에 장정을 마련하여 그 예하에 정각사(征榷司) · 장교사(掌交司) · 부교사(富敎司) · 우정사(郵程司)의 4사와 동문학(同文學)를 두었다.

정각사는 해관 · 주1의 징세 업무와 개항장 관련 업무, 장교사는 외교 교섭 · 사신 파견 · 조약의 개정 등 조약에 관한 업무, 부교사는 이원을 개척하기 위한 화폐 주조 · 개광 · 제조 · 주2 · 목축 등의 업무, 우정사는 전보 · 주3 · 철로 · 수륙 통행로 등의 토목사업, 동문학은 외국어와 정치 · 경제의 학습을 통한 인재 양성 업무를 각각 담당하였다.

관료 기구는 4사와 동문학을 총괄하는 총책임자 독판(督辦) 1명, 각 사를 대표하는 책임자로 독판을 보좌하는 주4 4명, 각 사에서 협판을 보좌하는 참의 4명, 각 사에 속해 문서의 기록과 작성 및 수취와 발송을 담당하는 주사 8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1885년 5월에 설치된 내무부가 외아문의 일부 기능을 담당하면서 외아문은 외교와 통상만을 전담하는 기구로 개편된다. 1887년 4월 27일에 직무 규정을 개정하여 종래의 4사 1학 체제를 총무사 · 교섭사 · 번역사 · 기록사 · 통상사 · 회계사의 6사 체제로 개편한 것이다. 주사의 인원도 기존의 8명에서 24명으로 대폭 증원되었다.

그 후 갑오개혁 시기인 1894년 7월 20일에 외아문은 폐지되고 외무아문이 창설되었다. 외무아문은 산하에 주5 · 주6 · 주7 · 번역국 · 주8 · 주9의 6국을 두어, 외아문의 6사를 이름만 바꾸어 그대로 계승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종실록』
『구한국외교문서』

단행본

森万佑子, 『朝鮮外交の近代-宗屬關係から大韓帝國へ』(名古屋大學出版會, 2017)
酒井裕美, 『開港期朝鮮の戰略的外交,1882~1884』(大阪大學出版會, 2016)

논문

전미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 관한 연구」(『이대사원』 24·25합집, 이화여자대학교 사학회, 1989)
주석
주1

국경에 설치한 관문.    우리말샘

주2

누에와 뽕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역참에서 공문을 주고받던 일.    우리말샘

주4

구한말에, 통리군국사무아문과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 둔 벼슬.    우리말샘

주5

통신사나 신문사 따위에서, 총무를 관장하는 국(局).    우리말샘

주6

구한말에, 외무아문 외부(外部)에 속하여 외국과의 교섭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우리말샘

주7

조선 고종 31년(1894)에 설치하였던 외무아문에 속한 관청.    우리말샘

주8

대한 제국 때에, 중앙 관서에 속하여 행정 및 통계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설치하였으며, 고종 32년(1895)에 없앴다.    우리말샘

주9

갑오개혁 이후, 의정부에 속하여 행정 부문과 원수부의 회계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