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준도 ()

목차
관련 정보
팔준도
팔준도
회화
작품
말을 소재로 한 그림 중에 여덟 필의 준마(駿馬: 잘 달리는 우량한 말)를 소재로 한 말 그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말을 소재로 한 그림 중에 여덟 필의 준마(駿馬: 잘 달리는 우량한 말)를 소재로 한 말 그림.
내용

팔준은 문헌에 따라 그 명칭에 있어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주나라의 목왕(穆王)이 아끼고 사랑한 적기(赤驥)·도려(盜驪)·백의(白衣)·유륜(踰0x962c)·산자(山子)·거황(渠黃)·화류(驊騮)·녹이(綠耳) 등을 가리킨다.

중국에 있어서는 송나라의 『선화화보(宣和畫譜)』에 의하면 이미 진나라의 사도석(史道碩), 당나라의 한왕원창(漢王元昌)·한간(韓幹) 등이 「팔준도」의 작품명을 남기고 있다. 현존 작으로는 청나라의 낭세령(郎世寧)이 그린, 국립고궁박물원 소장의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팔준도는 여덟 마리가 한 화폭에 함께 등장하는 대작(大作)이 있는가 하면, 각기 다른 화면에 한 마리씩 그리기도 하였다.

서로 다른 아름다운 외모와 자세를 달리한 팔준도는 중국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주제로 한 그림들이 몇 작품 알려져 있다. 비록 조선시대 이전은 현존 작이 공개된 바 없다. 그러나 고려시대에는 「육준도(六駿圖)」 등의 작품명이 문헌에 보여 팔준도도 그려졌을 가능성이 크다 하겠다.

조선 초 개국 이래 태조의 팔준에 관한 부(賦)와 세종 때 이를 그린 기사가 조선왕조실록이나 개인 문집류에서도 산견된다. 안견(安堅) 같은 거장은 적어도 두 번 이상 팔준도를 그렸음이 확인되나 전래되는 작품은 없다. 문인화가 중에서 말 그림을 즐겨 그린 윤두서(尹斗緖)는 「우마도권(牛馬圖卷)」에 말 여덟 마리를 함께 등장시키기도 하고, 전칭작으로 「팔준도」를 남기고 있다.

조선 후기에는 김홍도(金弘道) 전칭의 그림으로 전해지는 8곡 병풍으로 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이 있다. 그리고 조선 말기 장승업(張承業) 및 조석진(趙錫晉)이 남긴 걸작이 잘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국립중앙박물관소장(國立中央博物館所藏) 팔준도(八駿圖)」(정병모, 『미술사학연구』189, 1991)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