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재유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융일의 시 · 서(書) · 제문 · 서(序)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융일의 시 · 서(書) · 제문 · 서(序)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서문·발문이 없어 간행경위를 알 수 없다. 동국대학교 도서관·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등에 있다.

권1에 사(辭) 1편, 시 25수, 서(書) 14편, 서(序) 3편, 제문 9편, 권2에 행장 3편, 부록으로 행장·묘지명·묘갈명·만사·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몇 수 되지 않으나 시상이 확고하고 생각하는 바가 깊다. 「인곡초당(仁谷草堂)」에서는 안빈낙도의 진수를 묘사하였고, 「증권개옥(贈權皆玉)」에서는 친구간의 우정을 진솔하게 표현하였다.

서(書)는 김화옥(金華玉)과 학문에 대한 의견을 나눈 것이 많고, 형 현일에게 올린 「상갈암형(上葛庵兄)」에는 환로의 풍파에 대하여 염려하는 뜻이 담겨 있어 형제간의 돈독한 우애를 엿볼 수 있다.

서(序)의 「송이생정현서(送李生廷賢序)」는 이정현이 어려운 가운데서도 학문을 구하기 위하여 떠나는 장도를 칭찬하고 성공하여 돌아오라고 격려한 글이다.

「석천월회서(石川月會序)」는 가까이 사는 형제들이 서로 내왕이 적었음을 지적하면서, 앞으로는 친척간의 화목을 도모할 뿐 아니라 학문을 닦아 심신과 성정(性情)을 연마할 것을 약속한 글이다.

집필자
김상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