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옹유고 ()

목차
관련 정보
표옹유고
표옹유고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송영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정조 말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송영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정조 말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정조 말에 7대손 문술(文述)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종수(金鍾秀)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민보(李敏輔)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2에 시 270수, 잡저로 부(賦)·상량문·서(序)·지(誌) 각 1편, 서(書) 2편, 권3에 부록으로 연보 1편, 사제문(賜祭文) 1편, 만(挽) 23편, 신도비명 1편 등이 있다.

시는 오언과 칠언으로 절구·율시·배율·고시 등 다양한 시체(詩體)로 되어 있다. 제목이 없는 칠언절구 16수에서 특히 고상하고 격조 높은 시상을 엿볼 수 있다. 오언배율 중 「계심(戒心)」에서는 ‘무자기(無自欺)’라는 세 글자를 수양 공부의 좌우명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칠언고시 중 「유연견남산(悠然見南山)」은 진(晉)나라 도잠(陶潛)이 벼슬을 버리고 돌아갈 때 여유롭게 남산을 바라보고 마음속으로 기뻐하며 그 유거(幽居)의 정취를 읊은 잡시에서 따온 시제이다. 이는 1606년(선조 39) 51세 때 벼슬을 사양하고 향려(鄕廬)로 돌아갔다가, 이듬해 4월에 성주목사에 제수되어 6월에 부임하면서 지은 시이다. 도잠의 높은 절개를 찬탄하며 그렇지 못한 자신의 부끄러움을 서술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목동가(牧童歌)」나 「사산중(思山中)」에서도 작자의 그윽한 정취를 찾아볼 수 있다.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고 싶어도 돌아갈 수 없어 상심하는 정황을 그려내고 있다.

잡저의 「유연지(留硯誌)」는 길이 여섯 치, 너비 세 치의 참으로 구하기 힘든 마간석 벼루를 얻게 된 일을 기록한 것이다. 마간석(馬肝石)은 벼룻돌[硯石]로 유명하고 응청각(凝淸閣)은 명승지로 일컬어진다.

이 유고는 200여 년이 지난 뒤 수습, 간행되어 수록된 시문이 많지 않다. 저자는 당시 이항복(李恒福)·황신(黃愼)·이정구(李廷龜) 등과 왕실을 보좌한 일대 명류였으므로 참고할 만하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노홍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