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

근대사
단체
1937년 8월 중국 난징[南京]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의 연합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37년 8월 중국 난징[南京]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의 연합체.
개설

김구(金九)를 중심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주체로 하여 중국 내의 한국국민당 · 한국독립당(조소앙) · 조선혁명당〔지청천(이칭: 이청천)〕과 그 밖에 미주 대한인국민회〔북미대한인국민회〕, 하와이의 대한인국민회 · 대한인단합회 · 대한인부인구제회 · 대한인동지회 · 한인애국단 등 9개 단체에 의해 1937년 8월 결성되었다.

설립목적

같은 시기에 활동한 의열단김원봉(金元鳳)이 지도하는 조선민족전선연맹과는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한다는 점에서는 목적이 같았으나, 투쟁 방략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연합회가 결성된 동기는 중일전쟁 이후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던 한국인 독립운동단체의 분산적 활동을 청산하고, 이를 통합하여 혁명역량을 결집하려는 데 있었다.

연원 및 변천

당시 공동의 적인 일본과 싸우고 있던 중국 국민당정부는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를 후원함으로써 항일연합전선을 펼 수 있었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였다. 중국국민정부측은 나아가 항일독립운동을 펴고 있던 의열단계 김원봉의 조선민족전선연맹과도 독립운동단체의 대동단결을 종용하였다.

중일전쟁이 가열되자 임시정부는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로 옮기고 중국국민정부의 후원을 받아 활동하였다. 이곳도 일본군의 침공을 받게 되면서 1938년 이후 유커우[幽州] · 충칭[重慶] · 한커우[漢口] 등을 전전하면서 항일전을 전개하였다.

기능과 역할

한편, 중일전쟁에서 중국 측이 큰 타격을 입자 김구를 중심으로 한 연합회 간부들은 장래의 투쟁목표를 의논하게 되었다. 그 결과 3개 대(隊)의 결사대를 조직하여, 제1분대는 중국 동북지방, 제2분대는 한국, 제3분대는 일본에 파견할 것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분담구역 내 일본의 중요관공서 폭파 및 고관암살을 결행하고, 치안을 교란시켜 독립을 달성하고자 계획하였다.

창사에 본거지를 둔 연합회는 안공근(安恭根) · 안경근(安敬根) 등을 홍콩에 파견하여, 이곳에서 비밀리에 활동하고 있던 안정근(安定根) · 김인(金仁: 김구의 장남) · 안우생(安禹生: 안공근의 장남) 등과 함께 동지규합에 힘쓰는 한편, 항일선전자료 및 그밖의 정보수집에 종사하였다.

중국국민정부를 따라 충칭으로 본거지를 옮겨 활동을 계속하였으며, 홍콩 방면에서도 항일운동을 계속하였다. 그 뒤 김구와 김원봉 등의 제휴로 전국연합진선협회가 결성되어 한층 적극적인 항일운동이 전개될 때까지 민족주의진영의 독립운동연합체의 소임을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대사전』(이강훈, 광복회, 1985)
『독립운동사자료집』7∼9(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1975)
『한국독립운동사자료』3(국사편찬위원회, 1973)
『한국공산주의운동사』4(김준엽·김창순, 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 1973)
『조선통치자료』7(김정주, 한국사료연구소, 1971)
『關內地區朝鮮人反日獨立運動資料彙編』上(楊昭全, 遼寧 民族出版社, 1987)
『朝鮮獨立運動』Ⅱ(金正明 編, 原書房, 196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