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도감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1391년(공양왕 3), 한어도감(漢語都監)을 개편하여 외국어 학습을 위해 설치한 관청.
제도/관청
설치 시기
1391년(공양왕 3)
폐지 시기
고려 말기
내용 요약

한문도감은 1391년(공양왕 3)에 한어도감(漢語都監)을 개편하여 외국어 학습을 위해 설치한 관청이다. 고려 말인 1391년에 외교문서 등 전문적인 통역, 번역을 담당하기 위하여 기존의 한어도감을 개편하여 설치하였다.

목차
정의
1391년(공양왕 3), 한어도감(漢語都監)을 개편하여 외국어 학습을 위해 설치한 관청.
기능과 역할

1391년(공양왕 3)에 주1을 개편하여 설치하였고, 여기에는 교수관(敎授官)을 두었다. 1289년(충렬왕 15)에 고려가 관청과 신하들에게 추렴을 한 대상에 한문도감의 전신인 한어도감이 200석을 내도록 나오고 있어, 1289년 이전에 한어도감이 설치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1276년(충렬왕 2)에 처음으로 통문관(通文館)을 설치하여 금내(禁內) 7관, 즉 비서성(秘書省) · 사관(史館) · 한림원(翰林院) · 보문각(寶文閣) · 어서원(御書院) · 동문원(同文院)금내학관(禁內學官)의 6품 이하직에 있는 40세 이하 관원을 가려 뽑아 주2 학습을 시켰다는 기록이 『고려사』 백관지 통문관(通文館)조에 나오고 있다. 이러한 기록으로 볼 때 한어도감은 글자 그대로 한어를 학습하기 위해 1276년을 전후하여 설치된 기관으로 짐작된다.

뒤에 사역원(司譯院)을 두고, 여기에 이학교관(吏學敎官)을 두어 이문(吏文)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이때 한어(漢語)는 주3의 언어 자체가 아니라, 북중국 지역이 오랜 기간 거란, 여진, 몽골 등의 지배를 받으면서 기존 한족의 언어에서 변화된 한아언어(漢兒言語)라고 한다. 다시 말해 고려는 몽골과의 관계가 진전되면서 한족 중심의 중국어가 아닌 몽골과 소통할 수 있는 변형된 ‘한아언어’를 학습할 필요가 있었다. 한어도감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등장한 외국어 학습 기관이었으며, 한문도감은 그 후신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단행본

정광 외, 『이학지남』(태학사, 2002)
정광, 『조선조 역과 시권 연구』(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0)

논문

박용운, 「고려 시기의 통문관(사역원)에 대한 검토: 한어도감 · 역어도감 · 이학도감 · 한문도감과도 관련하여」(『한국학보』 31-3, 일지사, 2005)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중국어와 한문 교육을 담당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아. 공양왕 3년(1391)에 한문도감으로 개칭되었다.    우리말샘

주2

중국 한족(漢族)이 쓰는 언어.    우리말샘

주3

중국 본토에서 예로부터 살아온, 중국의 중심이 되는 종족. 인종적으로 황인종에 속하고, 한어(漢語)를 쓰며, 중국 전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보광(가천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