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색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후기, 도교 제사를 관장하였던 관청.
이칭
이칭
재초도감(齋醮都監)
제도/관청
설치 시기
1258년(고종 45) 이전
폐지 시기
1391년(공양왕 3)
내용 요약

정사색은 고려 후기에 도교 제사를 관장하였던 관청이다. 고종 때에 성신(星辰)에 대한 도교 제사인 초제(醮祭)를 지내기 위해 궁궐 안에 설치한 관청으로, 성신에 대한 초제를 지냈다는 기록을 통해 도교 계통의 초제를 담당한 기구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충선왕 때에 재초도감으로 바뀌었다.

정의
고려 후기, 도교 제사를 관장하였던 관청.
기능과 역할

1258년(고종 45)에 최씨 정권이 무너지자 권신의 집을 빼앗아 정사색의 기능을 회복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으로 보아 애초 정사색은 그 이전부터 존재하였던 기구였으며, 최씨 정권 시기에 그 기능이 무력화되었던 듯하다.

정사색이 복구되면서 내시 중에서 근면하고 성실한 이를 뽑아 정사색에 배치하니, 이들을 ‘내시정사색’이라 지칭하였다. 무엇보다 고종은 이들을 주1을 뛰어넘어 승진시켰으므로, 주2의 자제들이 다투어 들어오면서 규모도 커지게 되었다. 고종은 정사색을 자신의 측근 세력을 키우는 데에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충선왕 때에 재초도감으로 개편되었다가 1391년(공양왕 3)에 폐지되었다. 그런데 1379년(우왕 5), 1380년, 1385년(우왕 11)을 비롯하여 1392년 3월에 정사색이 주3를 지냈다는 기록을 찾을 수 있어 도교에 대한 제사 자체가 없어진 것이 아니며, 재초도감의 폐지도 정사색으로의 개편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 시대 태종 대에 주4을 개성의 정사색 옛터에 지었다는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이 소격전이 개성 귀산사 서쪽에 위치하였으므로, 고려시대에 정사색의 위치를 대략 궁궐의 북쪽, 송악산 남쪽으로 짐작할 수 있다. 정사색 또는 재초도감은 주5에 대한 초제를 지냈다는 기록을 통해 도교 계통의 초제를 담당한 기구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만 변천에서와 같이 두 기구의 관계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부분이 있다.

변천 사항

정사색으로 존재하다가 충선왕 때에 재초도감으로 개편되었다. 재초도감은 1391년(공양왕 3)에 폐지되었다고 하여 도교 제사 관련 기구가 폐지되었다고 하지만 1379년, 1380년 등 우왕 대에 정사색이 초제를 지낸 기록을 찾을 수 있어, 고려 후기 어느 때에 정사색은 다시 등장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충렬왕과 충선왕 부자의 정치 갈등을 감안하여 충렬왕이 복위하여 재초도감을 다시 정사색으로 바꾼 것이 아닌가 한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철웅, 『고려시대의 도교』(경인문화사, 2017)
문형만, 『고려제사도감각색연구』(제일문화사, 1986)
주석
주1

사람의 타고난 바탕과 성품.    우리말샘

주2

정치상의 권력과 세력이 있는 사람.    우리말샘

주3

무속 신앙이나 도교에서, 별을 향하여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하늘과 땅, 별에 지내는 도교의 초제(醮祭)를 맡아보던 관아. 조선 태조 때 두었으며 세조 12년(1466)에 소격서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5

빛을 관측할 수 있는 천체 가운데 성운처럼 퍼지는 모양을 가진 천체를 제외한 모든 천체. 보통은 태양, 달, 지구를 포함하지 않으며, 밝기는 등급으로 표시한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보광(가천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