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도감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주로 궁궐의 토목, 영선(營繕) 사업을 관장하던 관부.
이칭
이칭
조성색(造成色)
제도/관청
설치 시기
1029년(현종 18)
폐지 시기
고려 말기
내용 요약

조성도감은 고려시대에 주로 궁궐의 토목, 영선(營繕) 사업을 관장하던 관부이다. 이 관부는 현종 대 이래 고려 말기까지 확인된다. 현종 대에 조성도감에 원리(員吏)가 있었으며, 우왕 대에는 판사(判事)가 확인되지만, 조성도감의 정확한 직제는 알 수 없다.

정의
고려시대, 주로 궁궐의 토목, 영선(營繕) 사업을 관장하던 관부.
기능과 역할

본궐뿐만 아니라 좌소(左蘇) 등 주1의 건축을 담당하였으며, 나성의 건설에도 간여하였다. 또한 중광사, 연복사개경 주변의 사찰 건축도 맡았던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원종 대에는 여몽연합군이 일본 원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함, 군기 등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조성도감의 활동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조성도감이 국가적인 건설 사업 전반을 담당하고 있었다고 짐작된다. 1281년(충렬왕 7) 2월에 조성도감이 불에 타자, 공사의 부담을 지고 있던 백성들이 하늘이 재앙을 내려 경계한 것이라고 여기기도 하였다. 이는 조성도감이 궁궐 조성 등 관련 공사를 직접 관장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변천 사항

1029년(현종 18)에 나성과 중광사를 건설하기 위한 것으로 처음 등장한다. 원종 대에 고려, 몽골 연합군이 일본 원정을 위한 전함, 군기 등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다시 등장한다. 또 충렬왕, 우왕, 공양왕 대에도 조성도감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현종 대에 원리(員吏)가 있으며, 구체적으로 정장(鄭莊)이 사(使), 승적(承迪)이 주2로 재직하고 있던 사례를 찾을 수 있다. 또 우왕 대에는 판사(判事)가 확인되지만, 조성도감의 정확한 직제는 알 수 없다. 아마도 많은 도감의 사례와 비슷하게 사, 부사, 판관, 서리의 직제를 갖추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문형만, 『고려제사도감각색연구』(제일문화사, 1986)

논문

나영훈, 「고려전기 도감제의 연원과 성립」(『한국중세사연구』 47, 한국중세사학회, 2016)
주석
주1

임금이 나들이 때에 머물던 별궁.    우리말샘

주2

관아에 속하여 말단 행정 실무에 종사하던 구실아치. 고려 시대에는 중앙의 각 관아에 속한 말단 행정 요원만을 가리켰으나, 조선 시대에는 경향(京鄕)의 모든 이직(吏職) 관리를 뜻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보광(가천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