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전도록 ()

목차
도교
문헌
조선시대 도교인 한무외가 내단수련의 계보를 제시하며 선가의 흐름에 관해 서술한 도가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도교인 한무외가 내단수련의 계보를 제시하며 선가의 흐름에 관해 서술한 도가서.
내용

우리나라의 도가 단학(丹學), 즉 내단수련(內丹修鍊)의 계보를 밝힌 책이다. 인조 때의 어떤 승려가 가지고 있던 것이 이식(李植)에게 전하여져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1,500여 자의 소책자이지만 신라 말의 최승우(崔承祐) 등이 중국에 들어가 종리권(鍾離權)으로부터 단학을 전수받은 이후 최치원(崔致遠), 고려의 이명(李茗), 조선의 김시습(金時習) 등을 거쳐 한무외에까지 전하여진 계보를 밝히고 있으며, 사자상승(師資相承)에 의해 밀전된 연단비법의 책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김시습 이전의 전승은 사실(史實)로 보기 어려우나, 우리나라 단학의 근원을 중국의 전진교(全眞敎)에서 찾는 조선시대의 사상적 경향이 나타나 있다. 이식의 발문과 한무외의 행적이 붙어 있고, 부록으로 『단서구결16조(丹書口訣十六條)』·『단서별지구결16조(丹書別旨口訣十六條)』, 그리고 정렴(鄭렴)의 『용호결(龍虎訣)』이 합철되어 있다.

두 구결은 연단의 비결로 이식이 수집하여 합철한 듯하다. 전자는 유·불·도 3교를 해석, 비판하여 도교의 우위를 밝히고, 그 중에서도 연단법이 가장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후자는 연단의 수련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과 과정상의 유의할 점 등을 밝히고 있다.

『용호결』은 정렴이 밝힌 연단법으로, 연단의 개요를 설명한 다음 폐기(閉氣)·태식(胎息)·주천화후(周天火候)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그 요체를 설명하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도교사』(이능화 저, 이종은 역, 보성문화사, 1977)
「해동전도록에 나타난 도교사상」(김낙필,『한국종교』9,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