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최남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남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3책. 활자본. 1909년 7대손 해진(海晉)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황곡(黃斛)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잡저, 권2∼4에 잡저, 권5에 기(記)·발(跋)·명(銘)·잠(箴)·찬(贊), 부록으로 유사·행장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와 명 몇 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성리학(性理學)에 관한 논설이다.

「자경문(自警文)」·「태극인성합벽론(太極人性闔闢論)」·「이기병행설(理氣幷行說)」·「성도교체용설(性道敎體用說)」·「심지출입변(心之出入辨)」·「천성일체설(天聖一體說)」·「귀신론(鬼神論)」·「심학합역학변(心學合易學辨)」·「천인도변(天人道辨)」·「수포천지론(水包天地論)」·「오행오상음양건순설(五行五常陰陽健順說)」 등 130여 편의 논과 변, 설은 저자의 사상을 파악하는 데 핵심적인 자료가 된다.

특히, 내외편(內外篇)으로 꾸며진 도설(圖說)은 주목된다. 내편에서는 이기(理氣)·심성(心性)·심기(心氣)·도덕(道德)·성학(聖學)·논성(論聖)·용공(用工)·성경(誠敬) 등의 항목을 기술하고 있다.

외편에서는 천지(天地)·인물(人物)·논고(論古)·정가(正家) 등의 항목으로 기술하고 있는데, 고인의 설을 인용하고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주경(主敬)·궁리(窮理)에 전력한 인물답게 『중용』과 『주역』을 근간으로 하여 주희(朱熹)의 학설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