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익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신민회, 임시정부 등에서 활동하였고, 교사로 재임하던 선천 지역에서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한 교육자 ·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3년(고종 20)
사망 연도
1920년
출생지
평안북도 정주
관련 사건
105인 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신민회, 임시정부 등에서 활동하였고, 교사로 재임하던 선천 지역에서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한 교육자 · 독립운동가.
개설

평안북도 정주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원으로 활동하다 옥중에서 순국한 애국지사이다. 1902년에 평양 숭실중학교를 거쳐 1907년에 숭실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신민회(新民會)에 가입, 국권회복운동에 참여하였다.

1910년 데라우치[寺內正毅] 총독 암살사건인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곤욕을 치렀다. 출옥 후, 선천의 신성중학교(信聖中學校) 교사로 재직하였다. 1919년 3·1운동 때는 이승훈(李昇薰)의 지도로 동료 교원 김지웅(金志雄)·양준명(梁濬明), 목사 김석창(金錫昌) 등과 선천 지역의 만세운동을 계획하였다.

당시 성경 과목을 맡았던 그는 1919년 3월 1일 성경 시간에 혈서로 ‘대한독립만세’를 쓰고 독립만세를 부름으로써 만세시위의 불을 당겼다. 그 후 상해로 망명, 임시정부의 지시로 오동진(吳東振)·김승만(金承萬) 등과 함께 남만주 안동현(安東縣)에서 안동현임시의사회(安東縣臨時議事會)를 조직하였다.

그 뒤 상해임시정부의 교통국(交通局) 안동지부 사무국장에 임명되어 이륭양행(怡隆洋行)을 거점으로 통신 연락 사무에 주력하였다. 그러던 중 병을 얻어 병원에 입원한 사이 밀정 김극전(金克田)의 밀고로 1920년 1월 황대벽·장재순·김기준 등과 일본 경찰에 붙잡혀 신의주감옥에 복역중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유공자공훈록』5(국가보훈처, 1988)
『독립운동사자료집』9·14(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5·1978)
『독립운동사』2·4·9·10(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1972·1977·1978)
『한국독립사』하(김승학, 통일문제연구회, 1972)
『대한민국독립운동공훈사』(김후경·신재홍, 한국민족운동연구소, 1971)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매일신보』(1913.3.21, 3.23)
『朝鮮獨立運動』Ⅰ分冊(金正明 編, 原書房, 1967)
집필자
조동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