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박주(博州)에 있던 흥교역(興郊驛)에서 시작하는 역도로, 청천강 이남의 안북대도호부(安北大都護府) 영주(寧州)와 서경(西京)으로 향한다.
『고려사』 권82 병지2 참역(站驛)에, “흥교도(興郊道)는 12개의 역을 관할한다. 흥교(興郊)[박주(평안북도 박천군)], 흥재(興材)·운암(雲嵒)[영주(寧州, 평안남도 안주시)], 통덕(通德)[숙주(肅州, 평안남도 숙천군)], 영덕(迎德)·심원(深原)[영청(永淸, 평안남도 평원군)], 안정(安定)·임원(林原)·현암(玄嵒)[서경(평양특별시)], 영화(迎和)[함종(咸從, 남포특별시 강서군)], 연성(連城)[용강(龍岡, 남포특별시 용강군)], 안수(安壽)[안융(安戎, 평안남도 문덕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흥교도라는 역도 명칭은 『고려사』에서 가장 먼저 언급하는 흥교역의 역명에서 유래하였다. 고려시대 군사지대인 양계(兩界)의 영역 내에 분포하는 역도의 대부분은 주요 군진(軍鎭)의 명칭을 따라 흥화도(興化道)·운중도(雲中道)·삭방도(朔方道)라 한 것과 달리, 흥교도는 대표 역명에서 유래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처럼 도원도(桃源驛)·절령도(岊嶺道)·산예도(狻猊道)·금교도(金郊道)·청교도(靑郊道)·평구도(平丘道)와 같이 대표 역명을 붙인 역도들은 대개 궁예(弓裔)가 철원·송악을 중심에 두고 확보한 후고구려(後高句麗) 영역 내에 분포하는 공통점을 보인다. 따라서 이들 역도는 국방지대인 양계지역보다 역의 설치와 역로의 정비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들 역도가 분포하는 영역은 교통 중심지대인 개경(開京)을 중심으로 ‘X’자형의 간선 교통로를 형성하는데, 흥교도의 경우는 군사지대인 북계의 서경에서 안북대도호부 영주뿐만 아니라, 청천강을 건너서 박주에까지 이르는 서북 간선로의 일부였다.
개경에서 출발하여 절령(岊嶺, 자비령)을 넘어 절령도를 통해 서경에 이른 다음, 흥교도를 통해 영주-청천강 도하(渡河)-박주로 북상하였다. 흥교역이 위치한 박주는 청천강과 대령강 사이에 위치한 교통의 요충지로, 압록강 하구의 서북방면으로 진출하는 흥화도의 출발지점이면서 북계의 내륙지역으로 향하는 운중도의 중간 기착지였다. 그리고 서경에서 흥교도를 통해 대동강 이서(以西) 지역인 함종·용강현으로도 연결되었다. 이처럼 서경의 북쪽과 서쪽으로 뻗은 흥교도는 다른 양계지방의 역도와 달리 관할 역 시설도 12개에 지나지 않아 관할구역도 상대적으로 넓지 않았다.
고려시대 흥교도는 서북계의 군사 중심지인 서경과 안북대도호부 영주를 잇는 역로망으로, 고려시대 육상교통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았다. 그런데 역명을 붙인 역도의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흥교도는 북계의 군사지대에 속하면서도 민정(民政)구역인 남도(南道)와 같은 고려 초기 역도 운영의 전통이 계승된 준(準) 남도적인 성격도 지니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