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아가리토기 (겹아가리)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유물
신석기시대 후기∼청동기시대 전기에 만들어져 사용된 토기의 하나.
이칭
이칭
이중구연토기, 겹구연토기, 겹입술토기
내용 요약

겹아가리토기는 신석기시대 후기부터 청동기시대 전기에 만들어져 사용된 토기이다. 이중구연토기, 겹구연토기, 겹입술토기라고도 한다. 아가리 부분 바깥 면에 일정한 폭의 점토띠를 덧붙이거나 성형할 때 점토띠 가장 윗단과 아래단 접합 흔적을 지우지 않고 선으로 남긴 토기이다. 뾰족한 바닥에 바리 모양으로 겹아가리 아래에 빗금문살무늬, 긴 빗금무늬 짧은 빗금침선무늬 등이 새겨졌다. 함경도 지역을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확인되고 있다. 대표적인 유적은 합천 봉계리, 김해 수가리, 부산 금곡동 율리, 부산 범방동, 청도 오진리, 진안 갈머리 유적 등이다.

목차
정의
신석기시대 후기∼청동기시대 전기에 만들어져 사용된 토기의 하나.
개설

겹구연 토기, 겹입술 토기, 이중구연(二重口緣) 토기라고도 한다. 아가리 부분 바깥면에 일정한 폭의 점토띠를 덧붙이거나 성형할 때 점토띠 가장 윗단의 아래단 접합 흔적을 지우지 않고 선으로 남긴 토기를 말한다. 점토띠를 붙인 것은 신석기시대 후기∼말기 남해안 지역에 분포하였던 겹아가리 토기와 청동기시대 대동강 유역에서 확인되었던 팽이모양 토기가 해당하고, 접합 흔적을 지우지 않은 것은 청동기시대 전기 가락동형(可樂洞型) 토기와 흔암리형(欣岩里型) 토기가 해당한다.

내용

신석기시대 후기∼말기와 청동기시대 겹아가리 토기는 함경도 지역을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확인되고 있다. 신석기시대 겹아가리 토기는 남해안 지역과 남부 내륙 지역에 집중 분포한다. 대표적인 유적은 합천 봉계리, 김해 수가리, 부산 금곡동 율리, 부산 범방동, 청도 오진리, 진안 갈머리 유적 등이다.

토기의 기형(器形)은 뾰족한 바닥에 깊은바리모양〔深鉢形〕 내지 바리모양으로, 겹아가리 아래에 빗금문살무늬〔斜格子文〕, 긴 빗금무늬〔長斜線文〕, 짧은빗금침선무늬〔短斜沈線文〕 등이 새겨지거나 침선무늬가 결합되지 않는 것도 있다. 특히 남해안 지역의 겹아가리 토기는 아가리끝이 평탄하여 단면이 역삼각형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이후 신석기시대 겹아가리 토기는 아가리 부분이 둥근 것에서 평탄한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변화하였고, 아울러 단면이 타원형에서 역삼각형으로 변하였다. 겹아가리와 결합하는 침선무늬는 후기적 요소를 나타내는 빗금문살무늬가 빠른 모습으로 나타나거나 점차 1조 또는 2조의 짧은빗금침선무늬를 새긴 모습으로, 또는 침선무늬가 없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신석기시대 겹아가리 토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팽이모양 토기의 영향을 받거나 청천강 유역 당산패총 출토품의 영향을 받았다는 외래기원설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병행 관계상 적절하지 못하고, 중간 지역의 양상이 불분명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손가락 끝으로 무늬를 새긴 누른무늬〔指頭文〕토기에서 발생하였다는 설, 후기 남부 내륙 지역의 봉계리형(鳳溪里型) 토기의 아가리 공백부를 의식화하면서 발생하였다는 설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특히 봉계리형 토기 기원설은 겹아가리토기의 형식학적 출현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청동기시대 팽이모양 토기〔角形土器〕는 대동강 유역에 집중 분포하였고, 좁은 굽을 가진 독모양〔甕形〕토기나 항아리모양〔壺形〕토기에 겹아가리가 형성되었다. 앞의 것을 전형적인 팽이모양 토기, 뒤의 것을 변형된 팽이모양 토기라고 부른다.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유적은 대동강 유역의 평양 금탄리남경, 입석리, 봉산 신흥동과 마산리, 용연 석교리 유적 등이다. 침선무늬가 없는 것을 비롯하여, 일반적으로 빗금무늬 내지 톱니무늬〔鋸齒文〕등이 겹아가리 위에 몇 개식 단위를 이루며 새겨졌다.

한반도 남부 지방 가락동형 토기는 겹아가리빗금무늬 토기를 표지로 하는데, 대체로 금강 유역에 집중 분포한다. 익산 영등동, 청주 용암, 대전 용산동 유적이 대표적이다. 대체로 납작한 바닥에 깊은바리모양 또는 바리모양으로, 겹아가리 전체나 아랫단, 몸통에 걸쳐 톱니무늬나 빗금무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흔암리형 토기는 일반적으로 골아가리〔口脣刻目〕와 구멍무늬〔孔列文〕로 대표되는 역삼동형 토기와 가락동형 토기의 무늬 조합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가락동형 토기의 겹아가리, 빗금무늬 요소와 골아가리, 구멍무늬 요소가 한 토기에 전부 새겨지거나 선별적으로 새겨진 경우가 많다. 가락동형 토기와 달리 흔암리형 토기의 겹아가리 토기는 남부 지방 전역에 걸쳐 확인되었다.

한반도 남부 지방 청동기시대 겹아가리 토기는 가락동형이나 흔암리형 토기의 구분없이 동일하게 변화하였다. 겹아가리 아랫단 부분이 분명한 상태에서 접합 흔적이 선 위에 희미하게 남은 모습으로 변하였고, 겹아가리의 폭은 2.5㎝ 정도로 짧은 것에서 5∼7㎝ 정도로 길어졌다. 또한 겹아가리와 결합하는 침선무늬가 겹아가리 위에만 새겨지다가 점차 아랫단 부분으로 이동하고, 전기 늦은 시기에는 겹아가리와 몸통 위에 걸쳐 새겨지는 변화가 확인되기도 한다.

한반도 남부 지방 청동기시대 겹아가리 토기의 기원에 대해서 기존에는 팽이모양 토기를 들었지만, 발굴 자료의 증가와 함께 가락동형 토기 출토 주거지에 주춧돌 시설이나 토광위석식노지(土壙圍石式爐址)가 갖추어진 점, 침선무늬가 단위를 이루지 않고 일정한 간격으로 새겨진 점, 그리고 바리모양 토기의 유사성을 근거로 삼아, 팽이모양 토기보다 청천강 유역의 겹아가리 토기에서 기원한 것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전환기의 선사토기』(국립김해박물관, 2005)
『신석기시대의 토기문화』(동삼동패총전시관, 2004)
「흔암리유형 형성과정 재검토」(박순발,『호서지방의 선사문화』, 제1회 호서고고학회학술대회발표요지, 1999)
「한국 남부내륙지역의 신석기시대 유문토기연구」(이동주,『한국상고사학보』7, 1991)
「각형토기고」(한영희,『한국고고학보』14·15합집, 1983)
「前期無文土器の文樣編年と地域相」(安在晧·千羨幸,『福岡大學考古學論集-小田富士雄先生退職記念-』, 2004)
집필자
천선행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