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데라호 (caldera)

목차
관련 정보
백두산 천지
백두산 천지
자연지리
개념
화산 지형인 칼데라 바닥에 형성된 호수.
목차
정의
화산 지형인 칼데라 바닥에 형성된 호수.
내용

칼데라주4는 화구(火口)의 일종으로 화산체가 형성된 후 대폭발이나 산정부의 함몰에 의해 2차적으로 형성된 분지를 말한다. 칼데라는 일반 분화구보다 크고 바닥이 상당히 넓어 분지 형태를 띠기 때문에 칼데라 분지로 불린다. 칼데라의 어원은 포르투갈어의 칼데리아(calderia)에서 비롯된 말로 ‘솥’이나 ‘냄비’를 뜻한다.

폭발에 의해서는 보통 지름 2㎞ 이내의 화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대형 칼데라의 주1은 함몰에 의해 발달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간혹 대형 폭발로 산정부가 날라가 버린 경우 거대한 규모의 폭발성 칼데라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1815년에 인도네시아 탐보라산이 폭발했을 때, 산의 고도가 1,400m 낮아지고 지름 12㎞의 칼데라가 생겼다. 서기 79년 베수비오산의 폭발 때도 산정부의 상당 부분이 사라지고 지름 2.5㎞의 칼데라가 형성된 후, 작은 중앙화구구(中央火口丘)가 그 안에 솟아올랐다. 일본 규슈에 있는 아소산(阿蘇山)의 칼데라는 지름이 18~24㎞, 둘레가 128㎞이다.

우리나라의 칼데라 분지로는 울릉도 나리분지가 있다. 나리분지는 울릉도 섬 북쪽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 칼데라 분지는 지름 3.5㎞이며 분지 바닥의 해발고도는 약 250m이다. 칼데라 분지 안에는 중앙화구구인 알봉(611m)이 솟아있다. 울릉도 최고봉인 성인봉은 분화구가 따로 없는 주5이다. 외륜산이란 칼데라 변두리 화산체의 주2을 말한다.

현황

세계적으로 유명한 칼데라호로는 미국의 국립공원인 오리건주의 크레이터 레이크가 있다. 이곳 칼데라호는 지름 8~10㎞, 수심 약 660m이며 수면 위로 중앙화구구가 솟아올라 섬(Wizard Island)을 만들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2,744m)천지(天池)가 유일한 칼데라호이다. 백두산 천지는 과거 조선시대 때 대택(大澤), 대지(大池), 달문(闥門), 용왕담(龍王潭)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 천지라는 이름은 1908년 주3 유건봉이 편찬한 『장백산강지략』에서 용왕담을 천지라 명명하면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천지의 수면 고도는 2,237m, 면적은 약 9.16㎢로 불규칙한 타원형 모양이며 안쪽 사면 경사는 70~90°로 절벽을 이룬다. 둘레는 14.4㎞, 동서 폭은 3.55㎞, 남북 폭은 4.64㎞이다.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은 384m이며, 평균수심은 213.3m이다. 호수 바닥에는 부석, 자갈, 모래 등이 쌓여 있다. 물의 원천은 대기 강수와 일부 지하수로 보충된다.

천지는 한반도 호수들 중 가장 먼저 얼음이 두껍게 어는 호수로서 얼음 평균두께는 1.5m이다. 호수 물의 총량은 19억 5500만㎡이며 천지의 물은 중국 송화강으로 유입된다. 백두산 천지는 세계적으로도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칼데라호로서 경관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학술적으로도 가치가 높아 절대적 보존 관리가 필요한 곳이다. 북한에서는 1980년 1월에 천연기념물 제351호로 지정하여 특별히 보호하고 있다.

참고문헌

『위성에서 본 한국의 화산지형』(지광훈 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
『한국의 지형』(권동희, 한울 아카데미, 2009)
『자연지리학사전』(한국지리정보연구회, 한울 아카데미, 2004)
『지형학』(권혁재, 법문사, 1999)
주석
주1

사물이 이루어지는 원인. 우리말샘

주2

골짜기와 골짜기 사이에 있는 산봉우리의 줄기. 우리말샘

주3

중국의 마지막 왕조(1616~1912). 여진족의 누르하치가 여러 부족을 통일하여 후금국을 세우고, 그 아들 태종이 국호를 이것으로 고쳤으나 신해혁명으로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4

강렬한 폭발에 의하여 화산의 분화구 주변이 붕괴ㆍ함몰되면서 생긴, 대규모의 원형 또는 말발굽 모양의 우묵한 곳. 지름은 3km 이상인데, 수십 km에 이르는 것도 있다. 생긴 원인에 따라 함몰 칼데라ㆍ폭발 칼데라ㆍ침식 칼데라 따위로 분류하는데, 대개는 함몰 칼데라이다. 우리말샘

주5

복식 화산에서 중앙의 분화구를 둥글게 둘러싸고 있는 산. 울릉도의 성인봉은 외륜산의 한 봉우리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동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