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제 ()

연극
개념
모든 단원이 극단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동시에 지는 운영방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모든 단원이 극단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동시에 지는 운영방식.
연원 및 변천

동인제는 1960년대 한국 연극 극단에 널리 수용되었다. 1960년대는 ‘실험극장’(1960. 10)을 선두로 하여 ‘민중극장’(1963. 1), ‘산하’(1963. 9), ‘가교’(1965. 3), ‘광장’(1966. 3), ‘자유극장’(1966. 4), ‘여인극장’(1966. 10) 등의 동인제 극단들이 새로 결성되었고, 활발한 활동으로 극계를 이끌어갔다. 동인제 극단들은 1950년대와는 달리 직업 극단으로서의 체제를 선언하고 나섰다. 이들 동인제 극단의 구성원들 중 상당수가 1950년대와는 달리 연극을 직업으로 하여 극단 활동에 몰두하였기 때문에 연극계에 새로운 토대를 형성하는 에너지를 발휘할 수 있었다. 특히 극단 실험극장은 1960년대의 가장 대표적인 극단으로 부상하였다. 실험극장은 ‘연구와 실험’이라는 소극장운동의 기본적 목표는 동일하지만 직업극단으로서의 출발과 운영 방향에서 차이를 갖는다. ‘작품의 무대화’를 중심으로 한 ‘정기적인 공연 활동’을 기본적인 운영 방향으로 설정했기 때문이다.

의의와 평가

새로운 동인제 극단의 출범과 연극운동은 급격한 연극계의 세대교체를 뜻하는 것이었다. 연극계에 대한 새로운 이념 또는 접근 방법의 정립을 재촉했고, 세계 연극 속의 한국 연극이라는 인식을 촉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참고문헌

『한국 근·현대 연극 100년사』(한국 근·현대 연극100년사 편찬위원회, 집문당, 2009)
『한국연극운동사』(유민영, 태학사, 2001)
『우리연극 100년』(서연호·이상우, 현암사, 2000)
『한국의 소극장과 연극운동』(정호순, 연극과인간, 2000)
「1960년대 동인제 극단의 연극 대중화 양상」(김지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전공 문학석사학위논문, 2005)
「1960년대 동인제 연극운동」(조상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