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정 ()

연극
인물
해방 이후 여인극장 대표, 한국연극협회 이사 등을 역임한 연출가.
이칭
이칭
강숙자(姜淑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32년
사망 연도
2005년
출생지
경상남도 진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 여인극장 대표, 한국연극협회 이사 등을 역임한 연출가.
생애 및 활동사항

1932년 경상남도 진주에서 출생하여 3살부터 12살까지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자랐다. 본명은 강숙자(姜淑子)이다. 1944년 다시 진주로 돌아온 그는 문학소녀로 10대를 보내고, 극작가를 꿈꾸며 동국대학교 국문과에 진학하여 연극반 활동을 통해 연극에 뜻을 두었다. 극단 신협(新協)과 인연을 맺은 강유정은 프롬프터(prompter)의 역할을 하면서 연극의 전 과정에 참가하게 되었고,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신협에서 머물면서 무대 허드렛일을 하고 단역을 맡았다. 이 기간 강유정은 이해랑, 유치진, 김동원, 황정순, 김선영 등과 활동하면서 그들에게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강유정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선배는 이해랑이었다. 그는 이해랑으로부터 연기와 연출의 기본을 배우게 된다. 강유정은 결혼으로 연극계를 떠나고 이후 영화계에 잠시 몸담았지만 곧 다시 연극계로 돌아와 연출의 길을 걷는다. 1966년 여인극장의 창단은 강유정의 본격적인 연출활동의 시작이었다. 연출 데뷔작은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이었고, 여인극장의 창단 목표는 ‘사회 명랑화 운동’이었다. 이 목표는 1960년대가 사회적·경제적 고통의 시기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제시된 표어였다. 1971년 미국 콜롬비아대학교 사범대학 연극연구소에 초청되어 6개월 간 미국의 극계(劇界)와 대학극을 연구하였다. 귀국 후 강유정은 여인극장 전용극장인 에딘버러 소극장의 개관기념으로 「셰익스피어의 여인들」을 공연하고, 같은 해 「트로이 전쟁」과 「고해」를 무대화하면서 서서히 극단 대표와 연출가로서의 자리를 확고히 하였다. 40여 년 동안 여인극장을 이끌어왔던 그는 2005년 사망하였고, 현재 한국 여성연출가 1호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 인물연극사』1·2(유민영, 태학사, 2006)
「‘여인극장’의 강유정 연구」(송은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