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릉 ()

고려시대사
유적
고려 전기 제16대 국왕 예종의 제2비 순덕왕후 이씨의 능.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1118년(예종 13)
관련 국가
고려
관련 인물
순덕왕후
소재지
개성특별시 인근(추정)
내용 요약

수릉(綏陵)은 고려 전기 제16대 국왕 예종의 제2비 순덕왕후 이씨의 능이다. 1118년 순덕왕후의 사후 수릉에 안장되었으며, 영정은 송악산 안화사에 모셨다. 1122년 순덕왕후의 아들인 인종이 즉위하자 문경태후로 추존되었다. 고려시대에 왕릉이나 왕후릉은 제릉서에서 관리하였는데, 특히 인종 대에 위숙군제를 정비하여 능을 수호하도록 하면서 순덕왕후 수릉에는 다른 왕릉이나 왕후릉보다 많은 위숙군 6명을 두어 지켰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조선시대에 관리 소홀로 수릉의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예종 유릉 인근에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정의
고려 전기 제16대 국왕 예종의 제2비 순덕왕후 이씨의 능.
건립경위

순덕왕후(順德王后)주1 이자겸(李資謙)의 딸이다. 연덕궁주(延德宮主)로 궁에 들어와 예종의 제2비로서 1109년(예종 4) 인종을 낳았다. 1114년(예종 9) 왕비로 책봉되었고, 1118년(예종 13) 9월 갑신일에 세상을 떠났다. 같은 달 정유일에 수릉(綏陵)에 묻혔다.

변천

1118년(예종 13) 9월 순덕왕후는 수릉에 안장되었고, 그 영정은 같은 해 4월에 중수된 송악산 자하동에 있는 안화사(安和寺)에 모셨다. 예종은 이듬해 1119년 2월과 8월에 안화사의 진전을 방문하였고, 1120년(예종 15) 6월과 8월에도 방문하였다. 1122년(인종 즉위년) 아들인 인종이 즉위하자 어머니인 순덕왕후를 추존하여 문경왕태후(文敬王太后)로 봉하였고, 1140년(인종 18) 자정(慈靖)이라는 시호를 더하였다.

고려시대에 왕릉이나 왕후릉의 관리는 제릉서(諸陵署)를 설치하여 담당하였다. 특히 인종 대에는 왕릉이나 왕후릉을 수호하기 위해 산직장상(散職將相)이라는 위숙군(圍宿軍)을 두어 능을 수호하도록 하였다. 위숙군의 숫자는 능마다 달랐는데, 고려 태조부터 목종까지 7대 선대왕의 능은 4인의 관리인을 두었다.

위숙군 제도를 두었던 인종은 자신의 부모인 예종 유릉과 순덕왕후 수릉은 다른 왕릉이나 왕후릉보다 가장 많은 인원인 산직당상 6명으로 하여금 관리하게 하였다. 인종의 직계인 할아버지와 증조할아버지인 문종 경릉숙종 영릉에는 다른 왕릉보다 더 많은 4인의 관리인을 두었던 것도 같은 이유이다.

형태와 특징

순덕왕후의 수릉은 그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 그러나 남편인 예종 유릉이 현재 개성특별시 개풍군 오산리에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개성특별시 인근에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의의 및 평가

고려시대에는 왕뿐만 아니라 왕후의 사후에도 별도로 능묘를 조성해 주고 능호를 붙였는데, 예종의 유릉과 순덕왕후의 수릉도 마찬가지이다. 현재 수릉의 위치는 알 수 없지만, 예종 유릉 근처에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장경희, 『고려왕릉(증보판)』(예맥, 2013)
김인철, 『고려왕릉연구』(사회과학출판사, 2010)
장경희, 『고려왕릉』(예맥, 2008)

논문

홍영의, 「조선시대 고려왕릉의 현황과 보존 관리 실태」(『한국중세고고학』 5, 2019)
권두규, 「고려시대 능호 기재 양식과 수여 기준」(『한국중세고고학』 창간호, 2017)
윤기엽, 「고려 혼전의 설치와 기능」(『한국사상사학』 45, 2013)
허흥식, 「고려의 왕릉과 사원과의 관계」(『고려시대연구』 Ⅰ, 2000)
이만열, 「고려 경원 이씨 가문의 전개과정」(『한국학보』 21, 1980)

인터넷 자료

이북오도청(https://ibuk5do.go.kr/)
주석
주1

고려 예종ㆍ인종 때의 권신인 이자겸이 1124년에 받은 공신 칭호.    우리말샘

집필자
장경희(한서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