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탕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별호제반(別號諸班)을 구성하던 특수병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별호제반(別號諸班)을 구성하던 특수병종.
내용

『고려사(高麗史)』병지(兵志) ‘별호제반조(別號諸班條)’에, 신기(神騎)·신보(神步)·정노(精弩)·석투(石投)·대각(大角)·철수(鐵水)·강노(剛弩)·경궁(梗弓)·사궁(射弓)·발화(發火) 등의 여러 병종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도탕(跳蕩)이 어떠한 부대였는가에 대해서 자세히 알 수 없다. 하지만,『당서(唐書)』백관지(百官志)에 “시석미교 함적돌중 적인이패자 왈도탕(矢石未交 陷敵突衆 敵因而敗者 曰跳盪)”이라는 사료를 들어 일종의 돌격대로 보고 있다.『속자치통감장편(續資治通鑑長編)』에는 “칙도탕위기병야(則跳盪爲騎兵也)”라고 하여 도탕을 기병이라고 하고 있고,『무경총요(武經總要)』에는 “고유도탕좌우우후 금위지선봉(古有跳盪左右虞侯 今謂之先鋒)”이라고 하여 선봉대로 여기고 있다. 이러한 중국 측 사료의 내용을 참고하여 고려시대의 도탕도 기병으로 구성된 돌격대로 이해할 수 있다.

도탕은 5군(軍)의 전·후·중·좌·우군 가운데 도탕은 신기·경궁·정노·신보·석투·대각·철수·발화·강노와 함께 중군에 편성되었으며, 도탕의 지휘관으로 도탕도령(跳蕩都領)과 도탕지유(跳蕩指諭)가 편제되어 있었다. 도령은 도탕군 전체를 거느리는 총지휘관이었으며, 지유는 도령을 보좌하여 부대를 통솔하는 부지휘관에 해당되었다. 도탕도령과 도탕지유가 도탕군을 이끌고 전투에서 선봉대로 적진을 교란하는 임무를 맡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사 병지 역주』(이기백·김용선, 일조각, 2011)
『고려사 병지 역주(1)』(이기백, 고려사연구회, 1969)
「고려 별무반고」(이기백,『김재원박사 회갑기년 논총』, 1969;『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일조각, 199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