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高麗史)』병지(兵志) ‘별호제반조(別號諸班條)’에, 신기(神騎)·신보(神步)·정노(精弩)·강노(剛弩)·대각(大角)·철수(鐵水)·도탕(跳盪)·경궁(梗弓)·사궁(射弓)·발화(發火) 등의 여러 병종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석투(石投)는 맨손으로 돌을 던지거나 투석기를 사용하여 큰 돌을 날려 적에게 타격을 주는 병종으로, 돌을 목표 지점에 정확히 던지는 특기가 필요하였다. 석투는 우리나라 고래로부터 전래되어 왔던 석전(石戰)의 습관과도 관계가 있다. 삼국시대에 쌓은 여러 산성의 꼭대기에서 강가에 있던 강돌들이 대거 발견되는데 이는 석전과 관련된 증거라고 보인다. 석투 부대는 주로 지형이 높은 곳에 배치되었을 것이며, 밀집된 적군이 밀려올 때 큰 돌을 던져 적의 공격을 막아냈을 것으로 보인다.
석투 부대는 중·전·좌·우·후군 5군(五軍) 가운데 중군(中軍)에 편제되어 있었으며, 지휘관으로 석투도령(石投都領)과 지유(石投指諭)가 설치되어 있었다. 도령은 석투군 전체를 거느리는 총지휘관이었으며, 지유는 도령을 보좌하여 부대를 통솔하는 부지휘관에 해당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