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정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양전, 토지 분급, 조세 수취, 직역 차정을 목적으로 편제한 일정 면적의 토지 단위.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고려 전기
공포 시기
고려 전기
시행 시기
고려시대
폐지 시기
고려 말기
시행처
고려왕조
주관 부서
고려 상서성 호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반정(半丁)은 고려시대 양전, 토지 분급, 조세 수취, 직역 차정을 목적으로 편제한 일정 면적의 토지 단위이다. 고려시대 토지 면적 단위로 활용되었던 정(丁)에서 파생된 일정 면적의 토지 단위를 의미하는 용어로 족정(足丁)과 반정(半丁)이 있다. 족정은 일정 면적을 충족하는 단위 토지라면 반정은 그 반 정도에 해당하는 토지 면적 단위라고 본다. 고려 후기 군인에게 지급하는 17결(結)의 면적을 1족정으로 파악하는 사료에 의거하여 반정은 그 반인 8결 정도의 면적으로 파악한다.

정의
고려시대, 양전, 토지 분급, 조세 수취, 직역 차정을 목적으로 편제한 일정 면적의 토지 단위.
규모

반정(半丁)의 규모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고려 후기를 기준으로 대략 8결(結) 내외였다고 이해된다. 이와 반대로 그 두 배쯤 되는 17결 규모로 편제된 토지는 족정(足丁)이라 하였고, 이 둘을 합하여 전정(田丁)이라 통칭하였다. 반정은 고려 전기 전시과(田柴科) 체제가 성립한 이후부터 고려 말 과전법(科田法)이 시행되기 이전까지 존재하였다.

내용

고려는 양반 관료를 비롯하여 향리(鄕吏) · 군인 등 국가 운영에 필요한 특정 인력[職役]을 확보하기 위해 전시과 규정을 마련하여 소정의 수조지(收租地)를 지급하였는데, 이러한 수조지 분급의 편의를 위해 인위적으로 편제한 일정 규모의 토지가 곧 족정과 반정이었다. 이때 분급 대상자의 수가 가장 많았던 군인전(軍人田)의 규모인 17결이 족정의 기준이 되면서 반정은 8결의 규모로 편제되었다. 따라서 군인전의 규모가 20∼25결이던 고려 전기에는 반정의 규모 또한 10결을 상회했을 것이다.

이처럼 족정과 반정으로 편제된 토지의 분급을 매개로 군인을 비롯한 소정의 직역자(職役者)를 확보했던 만큼 고려는 이의 수수(收受), 특히 다음 세대로 넘어가는 전수 과정에서 그 편제가 깨지지 않도록 하는 전정 연립제(田丁連立制)를 시행하였다. 족정이나 반정의 수급자가 사망하는 경우 이를 여러 자손에게 나누지 않고 아버지의 직역을 승계한다는 전제 아래 적장자(嫡長子)를 우선으로 아들→손자→친족의 순서로 단독 상속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편제 · 운영된 반정은 족정과 함께 군현(郡縣)별로 선상(選上)해야 하는 기인(其人)의 수와 공해전시(公廨田柴)의 지급량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었으며, 특히 경기(京畿) 8현(縣)에 소재한 반정의 일부는 1271년(원종 12) 녹과전(祿科田)을 설치할 때 이의 재원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고려 말 사전개혁(私田改革)의 결과로 과전법이 마련되고 토지의 편제[作丁]가 천자문(千字文) 순서를 이용한 방식으로 바뀌면서 소멸하였다.

한편, 족정을 20∼59세까지의 인정(人丁)으로 보고 반정은 16∼19세까지의 인정 및 그들이 받는 토지를 가리킨다고 보는 견해(한우근, 유정지덕(有井智德)), 족정을 3정(丁)으로 구성된 가호(家戶)로 간주하면서 반정은 2정이나 1정으로 구성된 가호 및 그 가호가 보유한 토지를 지칭한다는 다른 견해(강진철)도 있다. 또한 족정이 전시과에 규정된 액수만큼 지급된 토지를 말하는 반면 반정은 그렇지 못한 경우를 가리킨다는 설명(武田幸男)도 있다. 이 밖에 족정이 사유지인 민전(民田)을 17결 단위로 편제한 것임에 반해, 반정은 국유지를 7결 정도로 구획한 토지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족정과 반정이 일정 면적의 토지 단위이자 양전(量田), 수세(收稅) 단위로 보더라도 이러한 방식의 작정제(作丁制)가 언제부터 시행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한다. 전시과가 시행되던 고려 전기에는 직역과 토지제도가 결합된 전정연립제도라는 직역 계승의 원리하에서 인정과 토지가 결합된 호(戶)의 의미로 파악되다가 전시과 제도가 무너지면서 직역 계승의 원리가 무너지고 단위 토지의 의미로 변화했다고 보기도 한다(김기섭). 고려 후기에 이르러 족정과 반정이 단위 토지이자, 양전 단위, 수세 단위의 역할을 했다고 보는 것이다.

의의 및 평가

정(丁)이 가지고 있는 연령 구분의 인정(16〜59세)의 의미와 일정 면적의 단위 토지라는 이중적 의미는 족정과 반정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파생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고려 시기 토지사유론(土地私有論)의 이해가 심화되면서 결을 매개로 한 토지에 대한 수취의 중요성이 확인되고, 족정과 반정의 의미가 일정 면적의 단위 토지로서 재해석되었다. 특히 고려 군역(軍役)과 향리역(鄕吏役), 기인역(其人役) 등의 직역이 족정과 반정과 결합된 전정 연립제의 방식으로 계승됨으로써 족정과 반정은 결을 일정 면적의 단위 면적으로 묶어서 직역의 계승, 양전과 수취, 토지 분급의 단위로 활용되었다.

반정은 족정의 1/2 정도의 면적으로서 고려 후기 전시과 체제가 이완되는 가운데 분급 토지의 부족으로 인해 반정을 혁파하여 녹과전을 지급하면서 반정의 기능은 약화되었다. 그러나 족정과 함께 반정은 고려 전시과 체제 내에서 전정 연립제의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익재난고(益齋亂藁)』

단행본

旗田巍, 『朝鮮中世社會史の硏究』(法政大學出版局, 1972)
강진철, 『고려토지제도사연구』(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이성무, 『조선초기양반연구』(일조각, 1980)
권영국 외, 『역주 고려사 식화지』(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김용섭, 『한국중세농업사연구』(지식산업사, 2000)
김기섭, 『한국 고대·중세 호등제연구』(혜안, 2007)
이경식, 『고려전기의 전시과』(서울대 출판문화원, 2007)
이경식, 『한국중세토지제도사』(서울대 출판문화원, 2011)
안병우, 『고려전기의 재정구조』(서울대 출판부, 2012)
이경식, 『고려시기토지제도연구』(지식산업사, 2012)

논문

권두규, 「고려시대 족정과 반정의 규모」(『한국중세사연구』 5, 한국중세사학회, 1998)
김기섭, 『고려전기 전정제 연구』(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김기섭, 「고려의 전정제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한국중세사연구』 2, 한국중세사학회, 1995)
김용섭, 「고려시기의 양전제」(『동방학지』 1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75)
민현구, 「고려의 녹과전」(『역사학보』 53·54, 역사학회, 1971)
박경안, 「고려시기 전정연립의 구조와 존재양태」(『한국사연구』 75, 한국사연구회, 1991)
오일순, 「고려전기 부곡민에 관한 일시론: 전시과제도·일품군과 관련을 중심으로」(『학림』 7, 연세대학교 사학과, 1985)
이경식, 「고려시기의 작정제와 조업전」(『이원순교수정년기념역사학논총』, 1991)
이경식, 「고려시기의 세역운영과 족·반정」(『고려시기토지제도연구』, 지식산업사, 2012)
이성무, 「고려·조선 초기 토지소유권에 대한 제설의 검토」(『성곡논총』 9, 성곡학술문화재단, 1978)
이우성, 「한인·백정의 신해석」(『역사학보』 19, 역사학회, 1962)
이인철, 「고려시대 족정·반정의 신해석」(『동방학지』 85,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4)
한우근, 「여대족정고」(『역사학보』 10, 역사학회, 1958)
武田幸男, 「高麗田丁の再檢討」(『朝鮮史硏究會論文集』 8, 1971)
武田幸男, 「高麗時代の口分田と永業田」(『社會經濟史學』 33-5, 1967)
深谷敏鐵, 「高麗足丁·半丁考」(『朝鮮學報』 15, 196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