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창 ()

목차
관련 정보
논산 명재고택 세살창
논산 명재고택 세살창
주생활
개념
판재로 만든 널창이나 널문에 대비해 창이나 문의 틀인 울거미 속에 얇은 살대로 짜 만든 창호. 띠살창.
이칭
이칭
띠살창
목차
정의
판재로 만든 널창이나 널문에 대비해 창이나 문의 틀인 울거미 속에 얇은 살대로 짜 만든 창호. 띠살창.
연원 및 변천

건물에 다는 창은 대개 살창인데, 살창의 개발은 창호 경량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고대건축 초기에는 목공 연장이 발달하지 않아 정밀한 가공을 요구하는 살창을 사용하지 못했다. 차츰 연장이 발달하면서 경량화를 위한 살창의 쓰임이 늘어났다. 이는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살창이 거의 보이지 않으며 일본 고대 그림책에도 창호보다는 장막 등을 치고 생활하는 모습을 보면 알 수 있다. 투박하게 만들어진 세로살창은 환기를 위한 목적으로 만들었는데, 일반 건물에도 가장 이른 시기부터 사용된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건물인 봉정사 극락전,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남선사 대전,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호류지[法隆寺] 금당 등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처럼 살대를 정밀하게 울거미 안에 짜 넣는 방식의 살창은 종이의 사용이 보편화되는 시점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고려시대 정도가 가장 일반화되는 시기로 추정할 수 있다.

내용

살창은 한자로 전창(箭窓)이라고 쓰지만, 전(箭)은 ‘살’이라고 하는 훈에서 차음하고 창(窓)은 음에서 차음한 것이기 때문에 한글로 표기할 때는 ‘살창’으로 표기하는 것이 합당하다. 따라서 한자로 쓸 때는 “箭窓”으로 써도 무방하지만 읽을 때는 “전창”으로 하면 틀린 표현법이며 반드시 “살창”으로 읽어야 한다.

살창의 종류는 살대의 모양으로 구분한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울거미 안에 세로살은 꽉 채우고 가로살은 위아래와 중간에 3∼4가닥 보낸 세살창(細箭窓)이다. 세살창 아래 청판을 붙여 문으로 사용하는 것은 세살문(細箭門)이라고 한다. 세살창호는 대개 외벽 창호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분합이라고 부르는데, 살대 명칭과 결합하여 세살분합(細箭分閤) 또는 세살청판분합(細箭廳板分閤)이라고 부른다. 세살은 속칭 띠살이라고도 한다.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세로살과 아울러 가로살까지 꽉 채운 만살분합(滿箭分閤)과 만살청판분합(滿箭廳板分閤)이다. 만살은 속칭 정자살이라고도 한다. 이외에도 아자살, 용자살, 빗살, 꽃살 등으로 다양한 형식이 있다. 울거미는 창이나 문의 틀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액자처럼 만들어진다. 가로와 세로 울거미가 연귀맞춤으로 연결되어 방형 틀을 만들어 그 안에 창살이나 문살을 채워 창호를 완성한다.

참고문헌

『지혜로지은 집, 한국건축』(김도경, 현암사, 2011)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김왕직, 동녘, 2007)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경기문화재단, 2007)
『한국건축대계4-한국건축사전』(장기인, 보성각, 2005)
집필자
김왕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