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빗간 ()

목차
주생활
개념
독립된 부엌 전용 건물.
목차
정의
독립된 부엌 전용 건물.
내용

일반적으로 한옥에서 부엌은 안채의 안방 한쪽에 면하여 달려있다. 1.5∼2.5칸 정도의 규모로 만들어 방 쪽에는 부뚜막을 두고 가마솥을 걸었으며, 반대쪽에는 장작을 보관하는 헛간이 부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고구려 안악3호분 고분벽화를 보면 방앗간, 푸줏간, 외양간과 마구간, 부엌간 등이 모두 독립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으로는 아궁이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서 시루를 걸고 떡을 찌고 있는 모습과 한쪽에서는 그릇을 정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맞배건물이며 기와집으로 매우 격식 있게 묘사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생활의 규모가 작아지면서 외양간은 문간채에 두는 경우가 많아지고 푸줏간은 사라지고 방앗간도 행랑채에 두는 경우가 많아졌다. 물론 부엌전용 건물도 사라지고 안채에 결합하였다. 그러나 창덕궁의 연경당에는 안채 뒤에 독립된 부엌이 남아 있다. 이러한 부엌 전용건물을 반빗간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김왕직, 동녘, 2007)
『한국건축대계4-한국건축사전』(장기인, 보성각, 2005)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집필자
김왕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