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주집 ()

진실주집
진실주집
불교
문헌
문화재
간경도감에서 송나라 예묘행이 지은 선어록을 1462년에 간행한 불교서. 간경도감본.
이칭
이칭
진실주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울산광역시
종목
울산광역시 시도유형문화재(2011년 12월 29일 지정)
소재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정의
간경도감에서 송나라 예묘행이 지은 선어록을 1462년에 간행한 불교서. 간경도감본.
개설

1274년(남송, 함순 10) 송나라의 예묘행이 여러 선사(禪師)들의 명(銘)·가(歌)·심요(心要)·법어(法語)·시(詩)·문(文) 등에서 선(禪)에 관련된 내용을 채록하여 편집한 선어록(禪語錄)이다. 2011년 12월 29일에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각권의 끝부분에 ‘천순육년임오세 조선국 간경도감 봉교조조(天順六年壬午歲朝鮮國刊經都監奉敎雕造)’ 라는 간행 기록과 ‘진의부위 신 황오신 서(眞義副尉臣黃伍信書)’라는 판서자 표시가 있다. 또 권3의 끝부분에 교감자인 윤필상(尹弼商, 1427∼1504), 노사신(盧思愼, 1427∼1498), 한계희(韓繼禧, 1423∼1482)의 명단이 나타난다.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 이 책은 송나라 예묘행이 1274년(원종 15)에 편집한 것을 황오신이 판하본을 쓰고 윤필상, 노사신, 한계희의 교감을 거쳐 1462년(세조 7) 간경도감에서 왕명으로 간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서지적 사항

3권 1책으로 된 목판본이다. 선장본으로 책의 크기는 세로 25.0㎝, 가로 17.0㎝이며 종이는 고정지이다. 판식은 사주단변에 반곽의 크기는 세로 18.2㎝, 가로 13.4㎝이다. 계선이 그어져 있고 한면에 11항 17∼18자, 주쌍항으로 되어 있다. 어미는 상하내향흑어미이다. 판심제는 ‘진실주(眞實珠)’이다. 동일본으로 현담문고 소장본(보물, 1987년 지정), 단양 구인사 소장본(보물, 1989년 지정), 단양 구인사 소장본(충청북도 유형문화재, 2011년 지정) 등이 있다.

내용

권수에 있는 예묘행의 「심법진실주서(心法眞實珠序)」에 의하면 ‘『전등록(傳燈錄)』가운데 가(歌), 명(銘), 현지(玄旨)와 무릇 훌륭한 선지식(善知識)의 요절어구(要截語句)를 뽑아 3권으로 엮어 새겨서 유통시킨 것이다’고 하였으니, 『전등록(傳燈錄)』에서 뽑은 글들임을 알 수 있다.

권수 다음에 있는 3종의 서문 중 첫 번째는 1284년(충렬왕 10) 지용이 쓰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예묘행이 썼다. 이중 세 번째 서문은 같은 판본인 단양 구인사 소장본에는 보이지만, 역시 같은 판본인 아단문고 소장본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어지는 본문에는 구결, 구두점이 필사되어 있어 이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간경도감에서 새긴 초간본으로, 판각이 매우 정교하고 인쇄도 깨끗하며 당대의 유명한 학자들이 교정에 직접 참여하였다. 당시 간경도감의 위상을 살피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양덕사 소장 불교전적 조사 보고서』(울산광역시, 2011)
『동산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87·1990)
국가기록유산(www.nl.go.kr)
문화재청(www.cha.go.kr)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www.nl.go.kr/korcis)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안미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