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의 승려 지소(智昭)가 지은 책으로, 당시 불교 5개 종파의 기본 사상과 창시자들의 행적을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2011년 9월 8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책은 상권 1책으로 결본이지만, 상 · 중 · 하 3권 1책으로 된 완질본인 구인사 소장본(보물, 1989년 지정), 삼성출판박물관 소장본(보물, 1991년 지정)과 동일본이다. 이들 책 끝부분에는 1395년(태조 4) 10월에 적은 목은 이색(李穡, 1328∼1396)의 지(誌)와 왕사였던 묘엄존자 무학(無學)의 관직 등이 있고, 마지막 행에 ‘회암사 유판(檜巖寺留板)’이라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이 책은 원나라에서 간행된 판본을 바탕으로 1395년(태조 4)무학대사가 회암사(檜巖寺)에서 거듭 간행한 판본이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결본이지만, 이미 보물로 지정된 다른 완질본과 동일본으로 조선시대 간본의 형식을 잘 갖추고 있다.
1권 1책으로 된 목판본이다. 변란은 상하단변좌우쌍변(上下單邊左右雙邊)이고, 본문에는 계선이 있다. 행자수는 10행 20자, 주쌍행이고 어미는 상하향흑어미이다.
'인천안목(人天眼目)'이란 인간과 천상의 일체가 모두 중생의 안목이 된다는 뜻으로, 남송의 승려 지소가 당시 불교 5개 종파인 임제종(臨濟宗) · 운문종(雲門宗) · 조동종(曹洞宗) · 위앙종(潙仰宗) · 법안종(法安宗)의 종요(宗要)를 알리기 위해 각 파의 선덕(先德)이 제창한 종강(宗綱)을 내세우고 여기에 대해 고덕(高德)의 염제(拈提), 게송(偈頌) 등을 수록한 책이다.
지소가 편찬한 것을 1258년(남송, 보우 6)물초대관이 중수하였고, 원나라 1317년(원, 연우 4) 무천천봉(撫川天峯)의 치우가 교수하였으며, 사승(師僧)에 따라 임제종 · 위양종 · 조동종 · 운문종 · 법안종 순으로 중간하였으나, 조선에서 간행한 책에는 임제종 · 운문종 · 조동종 · 위앙종 · 법안종의 순으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 선가(禪家)에서 많이 읽혀온 선서(禪書)로서, 고려시대 원나라 서울에 있던 고려대성수경선사(高麗大聖壽慶禪寺)에서 간행된 책을 조선조에 왕사(王師)가 다시 중간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