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제국기 ()

조선시대사
문헌
문화재
조선전기 문신 신숙주가 일본의 정치 · 외교 · 사회 · 풍속 · 지리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기록한 외교서. 한일외교사.
정의
조선전기 문신 신숙주가 일본의 정치 · 외교 · 사회 · 풍속 · 지리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기록한 외교서. 한일외교사.
개설

1443년(세종 25) 서장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신숙주(申叔舟, 1417∼1475)가 1471년(성종 2) 왕명으로 일본의 정치 · 외교 · 사회 · 풍속 · 지리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기록한 책이다. 2010년 10월 7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현재 전래하고 있는『해동제국기』는 5장 분량의 초주갑인자본(국립중앙도서관 소장)과 임진왜란 직후인 훈련도감에서 간행한 을해자체목활자본, 그리고 근대에 들어와 1923년에 후손 신용휴가 간행한 목활자본 등이 있다. 이 책은 훈련도감에서 간행한 을해자체목활자본에 해당한다. 이 책을 바탕으로 1933년조선사 편수회에서 『조선사료총간』제2집으로 영인본을 간행하였고, 1974년한국고전번역원에서 해행총재를 간행하면서 이 책을 영인, 수록한 바 있다.

서지적 사항

2권 2책으로 된 을해자체목활자본이다. 표지는 황지홍사에 오침안정법을 사용한 선장본이다. 판식은 사주쌍변에 반곽의 크기는 세로 13.0㎝, 가로 18.5㎝이다. 계선은 유계이고, 10항 19자, 어미는 내향3엽화문어미로 되어 있다.

내용

이 책의 저자인 신숙주는 1443년(세종 25) 당시 27세의 나이로 서장관으로서 일본을 방문하였다. 저자는 일본에서의 사행(使行) 경험을 바탕으로 당시 외교 관계를 정리하는 한편, 이 책이 완성된 이후에도 일본과의 중요한 조약 체결 등 내용이 추가되거나 잘못된 부분은 계속 보충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책이 개인의 기행문의 성격을 넘어 외교 관계의 지침서 역할을 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해동제국은 일본의 본국 · 구주 및 대마도 · 일기도(壹岐島)와 유구국(琉球國)을 총칭하는 말이다. 찬술 당시의 내용은 해동제국총도(海東諸國總圖) · 일본의 본국도(本國圖) · 서해도구주도(西海道九州圖) · 일기도도(壹岐島圖) · 대마도도(對馬島圖) · 유구국도(琉球國圖) 등 6매의 지도와 일본국기(日本國紀) · 유구국기(琉球國紀) · 조빙응접기(朝聘應接紀) 등이었다.

이후 1473년(성종 4)에 ‘성화구년(1473) 구월초이일 계(成化九年九月初二日啓)’가 부재(附載)되었고, 다음해인 1474년(성종 5)에는 예조좌랑 남제(南悌)가 웅천제포도(熊川薺浦圖) · 동래부산포도(東萊釜山浦圖) · 울산염포도(蔚山鹽浦圖) 등 지도 3매를 추가하였다. 또한 1501년(연산군 7)에는 성희안이 유구국 사신에게 유구의 풍토와 인물 · 세대에 대해 상세히 질문하여 답변한 내용을 병조판서 이계동(李季仝)의 제안으로 해동제국기 끝에 기록했다. 그리고 권말에 5장의 유구어 어음번역(語音飜譯)이 추가되었음이 특이하다.

어음 번역의 우리말 표기는 조선사 편수회 소장의 초주갑인자본을 바탕으로 한 조선사 편수회 영인 간행본(1933년)과 동일하다. 또한 권말에는 ‘홍치십사년(1501) 사월이십이일 계하승문원(弘治十四年四月二十二日 啓下承文院)’이라는 기록을 통해 임금의 재가를 받아 승문원에 알린 시기가 이 책의 간행 시기를 추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 책은 17세기 초 훈련도감에서 을해자체목활자로 간행하면서 약 100년 전에 찍은 초주갑인자의 내용과 동일하게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17세기 간행된 을해자체목활자본이기는 하지만 완전한 초주갑인자본이 발견되지 않는 시점에서 가장 오래된 판본이고, 15세기 일본의 역사와 지리, 한일외교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문화재청(www.cha.go.kr)
서울역사박물관(www.museum.seoul.kr)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www.nl.go.kr/korcis)
집필자
안미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