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칠장사 범종 ( )

안성 칠장사 범종
안성 칠장사 범종
공예
유물
국가유산
경기도 안성시 칠장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동종.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안성 칠장사 범종(安城七長寺梵鐘)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10년 03월 23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안성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기도 안성시 칠장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동종.
개설

동종의 몸체 하단에 명문이 양각되었으며, 1782년(정조 6)에 제작되었다. 2010년 3월 23일에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안성 칠장사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및 특징

종의 고리는 몸을 맞댄 두 마리의 용을 비교적 단순하게 표현하였고, 천판(天板)은 낮고 둥글게 만들었다. 천판 아래에는 8개의 원형범자문이 장식되어 있다. 종의 몸체 중심에는 횡선을 둘러 상하를 구분하였는데, 상단에는 모두 네 곳에 보살상과 연곽을 번갈아 배치하였다. 보살상은 원형의 두광을 갖추고 보관을 썼으며, 연화좌 위에 두 손을 모으고 서 있다. 신체는 짧게 표현되었고 법의는 잔잔히 나부끼는 모습이다.

종의 하단에는 명문이 양각되어 1782년(정조 6)에 주조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종을 만든 장인이 열거되었는데, 신몽태, 이영태, 이영희, 이수성, 이영준 등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주로 경기도 일대에서 활약한 인물이지만, 개별 장인의 활동이 자세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그 중에 이영희는 이만돌과 이만숙을 잇는 계보로 알려져 있으며, 경기도 의정부 망월사 동종(1786년)의 제작에도 참여하였다.

의의와 평가

안성 칠장사 범종은 전체 외형과 문양의 배치에서 조선 후기의 양식을 반영하고 있으며, 명문을 통해 정확한 제작 연대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인원이 참여한 주종장의 기록은 18세기 후반 장인의 활동을 살펴보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조선 후반기 제2·3기 불교공예의 명문과 양식적 특징」(최응천,『강좌미술사』40, 2013)
「칠장사의 유물」(안귀숙,『경기도지정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상)』, 1996)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