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주상절리대 ( )

목차
관련 정보
무등산 주상절리대 서석대
무등산 주상절리대 서석대
자연지리
지명
국가유산
광주광역시 동구 용연동 무등산에 위치한 주상절리대.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무등산 주상절리대(無等山 柱狀節理臺)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지구과학기념물/지질지형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2005년 12월 16일 지정)
소재지
광주광역시 동구 용연동 산 354-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 용연동 무등산에 위치한 주상절리대.
개설

무등산국립공원 내에 위치한 주상절리대로 2005년 12월 16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북위 35°05´45˝∼35°08´37˝, 동경 126°58´46˝∼127°01´44˝에 해당한다. 총 면적은 107,800㎡에 이른다.

내용

주상절리는 암괴(巖塊)나 지층에서 기둥 모양의 절리가 지표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말한다. 용암이 분출되어 굳어진 화산암 지역에서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뜨거운 용암의 평탄면이 동시에 냉각되면 그 표면에서 여러 방향으로 등질적인 수축이 일어난다. 이처럼 같은 간격으로 배열된 중심점을 향하여 수축이 일어날 때 각 중심점 사이의 중앙부에서는 양쪽으로 직각 방향의 균열이 발생한다. 이 균열은 상호 교차되어 일반적으로 6각형의 패턴을 이루어 주상절리가 된다.

무등산에는 석영안산암으로 이루어진 국내에서 가장 두꺼운 주상절리가 발달해 있다. 그 중 입석대와 서석대는 기둥 모양 혹은 병풍 모양을 하고 있어 그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입석대는 단면이 오각, 육각 혹은 팔각형의 절리를 이루는 둘레 6∼7m, 높이 10여 m의 독립된 돌기둥 수십 개가 수직으로 솟아있다. 입석대의 돌기둥 하나의 크기는 남한의 주상절리 중 제일 큰 것으로 평가된다. 서석대는 돌병풍 모양으로 동서로 길게 발달해 있는 용암층이다.

중생대 백악기에 발생한 화산 활동의 산물로서 용암이 지표 부근에서 냉각 및 수축되면서 형성되었다. 그 후 오랜 세월 동안 물리적 풍화에 의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용암의 분출 시기는 가장 오래된 촛대봉과 백마능선이 대략 8700만 년 전 이전, 다음으로 동화사지와 신선대가 8700∼8500만 년 전, 광석대∼방송탑 및 입석대∼서석대는 8500만 년 전, 마지막으로 분출한 무등산 정상부의 천왕봉과 지왕봉은 8,500만 년 전 이후로 추정하고 있다.

참고문헌

『지오시스템』(Robert W. Christopherson 저, 윤순옥 외 옮김, 시그마프레스, 2012)
「남한에서 주상절리의 분포와 암석학적 특성」(안건상, 『암석학회지』23, 2014)
Structural Geology(Haakon Foss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