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천암 지장시왕도 ( )

회화
작품
1848년에 조성되어 남양주 천보산 석천암에 봉안되었던 지장시왕도.
이칭
이칭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
작품/서화
창작 연도
1848년(헌종 14)
작가
법총(法聰), 희원(凞圓), 혜호(慧皓)
소장처
불교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석천암 지장시왕도」는 1848년에 조성되어 남양주 천보산 석천암에 봉안되었던 지장시왕도이다. 19세기 전반 지장시왕도의 우수한 예로 제작 시기와 제작자, 시주자 등의 정보가 화기에 남아 있는 중요한 불화이다. 2016년 독일에서 환수된 문화재이다. 현재 불교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1848년에 조성되어 남양주 천보산 석천암에 봉안되었던 지장시왕도.
내용

2016년 5월 독일의 한 경매에 출품되어 알려졌으며 환수추진단이 급히 파견되어 낙찰을 받고 7월에 국내로 환수되었다. 불화는 언제, 어떤 경로로 국외로 반출되었는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독일인 소장가가 40년 정도 소장하였다고 하는 점으로 미루어 1970년 이전에 반출된 것으로 추측된다. 다행스럽게도 조성 연대와 제작 화승을 알 수 있는 화기(畵記)가 온전히 남아 있어 1848년(헌종 14) 조성되어 남양주 천보산에 있는 석천암에 봉안되어 있었던 지장시왕도임을 알 수 있다. 2021년 현재 불교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특징

크기는 세로 154.8㎝, 가로 148㎝이며, 비단에 채색하였다. 불화의 외곽은 나무틀로 장황되었는데, 원래의 장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정방형의 구성을 보이는 「석천암 지장시왕도」에는 화면의 중앙에 지장보살이 연화대좌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 하고 있다. 지장보살 좌우에는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이 협시를 이루는 지장삼존(地藏三尊)의 구성이며, 이를 중심으로 시왕(十王)과 판관(判官), 녹사(錄事), 사자(使者), 옥졸(獄卒), 동자(童子), 공양천녀(供養天女)를 좌우 대칭으로 포치하였다.

지장보살은 목리문(木理紋)이 그려진 불단 위에 연화를 대좌로 앉아 있으며 왼손에는 보주(寶珠)를 들고 오른손은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하고 있다. 머리에는 흑건(黑巾)을 썼으며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을 후광으로 두고 있다. 목리문이 그려진 대좌의 좌우에는 승려 모습에 합장을 하고 석장(錫杖)을 든 도명존자와 관(冠)을 쓰고 합장한 무독귀왕이 지장보살을 협시하고 있다. 불화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지장보살은 화려한 청연화 대좌를 둔 목리문 불단에 앉아 있다. 지장보살이 앉아 있는 불단의 규모는 커서 압도적으로 공간을 크게 차지한다.

두 존상(尊像)의 바깥쪽으로는 시왕이 배치되었는데 각각 5위(位)의 총 10위의 시왕이 있다. 시왕은 무독귀왕과 같은 형태의 관을 쓰고 홀(笏)을 들거나 수염을 만지는 모습이다. 시왕의 상단부에는 오사모(烏紗帽)를 쓰고 명부를 든 판관과 녹사가 있으며 더 위쪽으로 사자와 우두(牛頭) 옥졸, 마두(馬頭) 옥졸을 비롯, 선녀머리를 하고 과일을 든 천녀와 명부를 든 쌍계머리의 동자가 있다.

지장삼존과 보살, 동자와 천녀들은 대체적으로 방형의 얼굴에 꼭 다문 입, 중앙으로 몰린 이목구비의 특징을 보인다. 시왕의 경우 눈아래 등을 중심으로 안면부에는 음영을 가하였으며 긴 눈썹, 흰 수염이 있는 모습, 무독귀왕의 경우 커다란 눈이 튀어나올 것 같은 개성적인 모습 등 다양하다.

불화의 하단에는 불화가 조성된 사찰, 그림을 그린 스님, 발원자에 대해 적혀 있는데, 이에 따르면 ‘양주 천보산 석천암(揚州天寶山石泉庵)’에서 봉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천보산 석천암은 현재 남양주 불암산 석천암이다. 한편 불화를 그린 화승은 법총(法聰), 희원(凞圓), 혜호(慧皓) 등이며 1848년(도광 28) 무신 4월 초파일에 완성하였으며 14일에 점안 후 봉안했고, 후불탱화와 산신탱화도 함께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발원자의 대다수는 상궁이며, 윤치정(尹致定)이란 이름도 확인된다. 윤치정은 19세기에 활동했던 이조참의 등을 역임했던 문신이다.

의의 및 평가

「석천암 지장시왕도」는 19세기 전반의 근기(近畿) 지역의 귀한 지장시왕도로, 조성 연대와 봉안처, 화승 등을 명확히 알 수 있는 중요한 불화이다. 19세기 전반 근기 지역 지장시왕도의 도상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고, 수화승 법총의 불화를 발굴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상궁이 대다수 시주자로 적혀 있어 조성 배경을 명확히 알 수 없지만 상궁과 조선 말기 문신이었던 윤치정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안귀숙·최선일,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양사재, 2008)
김정희, 『조선시대 지장시왕도 연구』(일지사, 1996)

논문

김정희, 「조선 후기 명부계 불화의 초본」(『밑그림이야기-불화초』, 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 201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