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 시왕도 ( )

회화
작품
문화재
1777년 화승 인종(印宗), 영인(永印), 도준(道俊) 등이 그린 불화.
이칭
이칭
봉은사 시왕탱(奉恩寺 十王幀)
작품/서화
창작 연도
1777년(정조 1)
작가
인종(印宗), 영인(永印), 도준(道俊)
소장처
봉은사
시군향토문화재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531 봉은사
내용 요약

「봉은사 시왕도」는 1777년 화승 인종(印宗), 영인(永印), 도준(道俊) 등이 그린 불화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시왕을 4폭에 나누어 그린 4점의 시왕도 중 1점이다. 18세기 근기 지역 시왕도의 도상과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불화로 의미가 있다. 2018년에 미국으로부터 환수된 문화재이다.

정의
1777년 화승 인종(印宗), 영인(永印), 도준(道俊) 등이 그린 불화.
내용

「봉은사 시왕도」는 명부(冥府) 세계에서 심판하는 주1 중 2대왕과 4대왕이 그려진 불화로, 총 네 폭으로 구성된 시왕도 중 한 폭이다. 2018년에 미국으로부터 환수된 문화재다. 원래의 장황과 화기는 소실되었는데, 한국전쟁 전후로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2018년 국외 경매시장에서 「봉은사 시왕도」로 확인되었다. 2018년 환수추진단이 미국 현지에 급히 파견되어 낙찰을 받았으며 2018년 5월 14일 국내로 돌아오게 되었다. 현재 원소장처인 봉은사에 소장되었다.

형태 및 특징

불화는 원래의 봉안처를 떠난 후 장황과 화기가 소실되어 제작 연대와 제작 화승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함께 조성된 시왕도 네 폭 중 한 폭(동국대학교 박물관)을 통해 이 불화에 대한 정보를 준다. 이에 의하면 「봉은사 시왕도」는 "건륭(乾隆) 42년인 1777년(정조 1)에 광주(廣州) 수도산(修道山) 봉은사(奉恩寺)에서 삼장탱(三藏幀), 시왕 각부탱(十王各部幀), 사자탱(使者幀)을 조성하였다."고 기록되어 제작 연대와 봉안처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6, 8, 10대왕도 화기에는 불화를 그린 승려 이름도 기록되어 있는데 용안(龍眼), 진경(震潁) 이하 청숙(淸肅), 편수(片手) 수밀(守密), 한계(漢戒), 영인(永印), 상훈(尙訓), 협력(頰平), 축□(笁□), 인종(印宗), 축헌(笁軒), 도준(道俊), 환봉(喚奉), 연홍(演泓), 저인(定印) 으로 기록되었다. 그러므로 네 폭 시왕도는 수화승(首畫僧)인 진경 등과 여러 화승들에 의해 제작한 불화임을 알 수 있다.

화면 크기는 세로 114.8㎝, 가로 148.3㎝이며, 화면은 크게 심판을 하는 시왕을 상단에, 지옥 장면을 하단에 배치하였다. 이 사이를 구름을 그려 상단과 하단으로 구획하고 있다. 상단에는 병풍을 배경으로 용두(龍頭)로 장식된 의자에 앉은 시왕이 판관의 보고를 받으며 심판하는 장면을 그렸다. 시왕은 일(日), 월(月)이 그려진 책관(冊冠)을 쓰고, 관복을 입었으며 홀을 든 자세를 취하고 있다. 시왕은 다른 인물들에 비해 크게 그려 부각하고 있다.

시왕의 앞에는 목리문(木理文)이 그려진 책상 위에 벼루, 붓 등 문방구가 놓여 있다. 시왕 옆에는 시왕의 재판을 돕는 판관, 녹사, 옥졸, 동자, 천녀 등이 시립해 있다. 홀이나 명부 등을 들고 있는 인물, 오사모(烏紗帽)를 만지는 인물 등 각각의 역할에 따라 다른 자세를 취한다.

하단은 지옥 장면이 중심을 이룬다. 큰 기둥에 묶어 놓고 죄인의 배꼽에서 창자를 끄내는 장면, 목에 칼을 쓴 죄인 앞에서 판관이 두루마리를 펼친 장면 등은 시왕 중 제2대왕에 속하는 초강대왕도(初江大王圖)의 지옥 장면이다. 또 펄펄 끓는 가마솥에 죄인을 넣는 확탕지옥이 그려진 장면은 제4대왕인 오관대왕도(五官大王圖)를 묘사한 것이다.

나머지 세 폭의 불화는 5, 7, 9대왕도와 6, 8, 10대왕도 두 폭이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남은 한 폭은 국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고 한다. 18세기 근기(近畿) 지역의 시왕도 유형을 볼 수 있는 시왕도이다.

의의 및 평가

18세기 시왕도는 열 명의 왕을 각각 한 폭에 도해한 형식이 그려지는데 「봉은사 시왕도」의 경우 상, 하의 칸을 분리하지 않고 상단에는 두 명 또는 세 명의 왕이 심판하는 모습을 그릭 아래쪽에는 각각의 지옥 장면을 자유럽게 그리는 독특한 구도를 취하고 있다.

봉은사에 봉안된 불화 중 가장 조성 연대가 올라가는 작품으로, 서울과 경기 지역 시왕도 중에서도 이른 제작 시기의 도상을 보인다. 화기는 없지만 남아 있는 시왕도를 통해 제작 연대, 화승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왕도로서 18세기 근기 지역 시왕도의 도상과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불화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천혜봉, 『韓國 典籍印刷史』(범우사, 1990)
김두종, 『韓國古印刷技術史』(탐구당, 1980)
주석
주1

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진광왕, 초강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왕, 도시대왕, 오도 전륜대왕이다. 죽은 날부터 49일까지는 7일마다, 그 뒤에는 백일ㆍ소상(小祥)ㆍ대상(大祥) 때에 차례로 이들에 의하여 심판을 받는다고 한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