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용신설화 ()

구비문학
작품
백제와 후백제의 왕계를 물의 용과 관련지어 이야기하는 설화.
내용 요약

「백제용신설화」는 백제와 후백제의 왕계를 물의 용과 관련지어 이야기하는 설화이다. 『삼국유사』의 「무왕」조와 「조룡대 설화」, 「견훤 설화」 등에서 용신이 등장하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무왕의 탄생에서는 용신의 현현, 백제의 멸망에서는 용신의 최후, 그리고 견훤의 실패와 좌절에는 용신의 후예로서 부정되는 이야기가 그려지는데, 용신을 중심으로 하는 정신적 유대감과 지속 의지 및 복원에 대한 소망이 반영되어 있다고 해석된다.

정의
백제와 후백제의 왕계를 물의 용과 관련지어 이야기하는 설화.
내용

문헌 전승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 『삼국유사』의 「백제 무왕 설화」가 있다. 백제의 제30대 무왕의 이름은 장(璋)이다. 장의 어머니는 과부가 되어 서울 남쪽 못 가에 집을 짓고 살고 있었는데 못의 용과 교통하여 장을 낳았다. 장은 마를 캐어 팔아서 생업을 삼았으므로 어릴 때는 주1이라고 불리었고 재기와 도량이 커서 헤아리기 어려웠다. 백제 무왕의 부계가 용이었으므로, 백제 왕계가 용신 계통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하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부여 지방의 대표적인 역사‧지명 전설로 「조룡대 설화」 역시 이와 관련된다.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할 때 당나라 주2백마강을 거슬러 올라가는데, 수호신 용이 나타나 방해하자 소정방이 말을 미끼로 삼아 용을 잡았다. 이때 용을 잡은 밧줄 자국이 조룡대 위에 남아 있다는 것이 전설로 전해진다. 나라의 쇠락에 대한 적극적 저항 의지를 수호룡으로써 그려내고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백제의 멸망과 용신의 최후를 연결하는 내용으로 호국룡(護國龍) 관념을 이해하게 한다.

용신의 모습은 후백제견훤(甄萱)에 관한 이야기에서도 확인된다. 옛날에 부자 한 사람이 광주(光州) 북촌에 살았다. 딸 하나가 있었는데 자태와 용모가 단정했다. 딸이 아버지께 말하기를, “매번 자줏빛 옷을 입은 남자가 침실에 와서 관계하고 갑니다.”라고 하자, 아버지가 “너는 긴 실을 바늘에 꿰어 그 남자의 옷에 꽂아 두어라.”라고 하여 그대로 따랐다. 날이 밝자 실을 찾아 북쪽 담 밑에 이르니 바늘이 큰 지렁이의 허리에 꽂혀 있었다. 이로부터 태기가 있어 사내아이를 낳았는데 나이 15세가 되자 스스로 견훤이라 일컬었다는 내용이다. 용이 큰 지렁이[地龍]으로 바뀌고 지룡의 정체가 드러난 점은 이후의 일정한 왜곡의 결과라 할 수 있으며, 견훤의 탄생 이야기의 근저에는 용신을 섬기는 수부지모(水父地母)형의 신화적 틀이 작용하고 있다.

한편 구전 설화에서는 백제를 건국한 인물에 신성성을 더하는 대목이 있다. 가령 「위례성의 우물」 설화에서는 온조(溫祚)라는 인물이 비류와 헤어져서 위례성의 우물을 통해서 자신의 모습을 용으로 둔갑시켜 수로를 따라서 자신의 좌정처를 정하는 내용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온조가 우물을 통해서 용으로 출타하고 그곳에서 특정한 행위를 하면서 새로운 건국을 준비하는 모습이 발견되는데, 문헌 설화에 보이는 용신 설화의 숭앙(崇仰)과 별반 다르지 않다. 다만 마지막의 결말에서 비류와 소서노 등이 비극적인 최후를 맞아 죽은 것은 전형적인 전설의 면모라 할 수 있다.

백제와 용신의 관련성

용신은 호국이나 호법, 혹은 퇴치의 대상으로 인식되지만, 백제의 경우는 집단 의식과 관련되어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백제의 흥망성쇠와 용신이 함께 한다는 점에서 그 신앙적 믿음과 이를 둘러싼 집단 존속의 의지가 나타난다. 무왕의 탄생에서는 용신의 현현, 백제의 멸망에서는 용신의 최후, 그리고 견훤의 실패와 좌절에는 용신의 후예로서 부정되는 이야기가 그려지면서, 용신을 중심으로 하는 정신적 유대감과 지속 의지 및 복원에 대한 소망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혼란 속에서 구세주를 기다리는 미륵사상과의 관련성이 주장되기도 하였다.

관련 민속

한반도의 마한 문화권에는 용신신앙이 성행하였다. 그래서 이 지역에는 관련된 민속이 발달되었는데, 벽골제쌍룡놀이가 대표적이다. 용신앙 및 농경 문화는 물론, 백제와 마한, 백제와 신라의 관계사를 나타낸 민속놀이로 해설되기도 한다. 또한 김제 지역의 줄다리기 역시 용사(龍蛇)신의 신체를 상징화한 민속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유사』
황인덕 외, 『백제 관련 설화 자료집』, 「위례성의 우물」(국립민속박물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0)

논문

강현모, 「백제 설화의 연구 –저항설화를 중심으로」(『비교민속학』 20, 2001)
박진태, 「김제 벽골제와 용설화 및 쌍룡놀이―벽골제 쌍룡놀이의 배경과 마당놀이로서의 가능성―」(『고전문학과 교육』 9, 2005)
정병헌, 「백제 용신설화의 성격과 전개 양상」(『구비문학연구』 1, 1994)
황인덕, 「부여 ‘조룡대’ 전설의 형성과 전개」(『충청문화연구』 21, 2018)
주석
주1

백제 제30대 왕인 ‘무왕’의 다른 이름. <서동요>를 지었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2

중국 당나라의 장군(592~667). 이름은 열(烈). 정방은 자(字). 현경(顯慶) 5년(660)에 나당(羅唐) 연합군의 대총관으로서 13만의 당군을 거느리고 백제의 사비성을 함락하고, 의자왕과 태자 융(隆)을 사로잡았다. 661년에는 평양성을 포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우리말샘

주3

용과 뱀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