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월제 ()

고대사
의례·행사
매년 10월 고대 삼한 사회에서 추수를 끝내고 행하던 농경의례.
정의
매년 10월 고대 삼한 사회에서 추수를 끝내고 행하던 농경의례.
연원 및 변천

농경과 밀접하게 관련된 계절제 성격의 신앙의례이다. 고대 삼한 사회에서 10월에 추수를 끝내고 난 뒤에 한 해의 풍요에 감사하고 다음 해의 풍요를 기원하며 귀신에 제사를 지내고 가무 행위를 통해 공동체원으로서의 일체감을 추구하였다. 이 때 귀신에 제사를 한다는 것은 귀신이라는 제사대상과 함께 소박한 형태로나마 일정한 형식을 갖춘 신앙의례와 관련이 깊다. 또한 가무 행위와 관련하여 ‘수십인이 함께 일어나 줄을 서서 땅을 밟고[踏地] 앉았다 섰다 하면서 손과 발을 맞추었다’는 사실은 춤을 통한 공동체원으로서의 일체감을 추구하는 면을 엿볼 수 있다.

행사내용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의하면 삼한 사회에서는 5월에 씨뿌리고 10월에 추수를 끝내고 난 뒤에 귀신에게 제사를 지내는데, 낮이나 밤이나 술자리를 베풀고 떼지어 노래부르며 춤을 추었으며 춤출 때에는 수십 명이 서로 줄을 서서 땅을 밟으며 장단을 맞춘다고 하였다.

현황

우리나라 고대국가에서 행해진 축제이자 의례는 대개 10월 혹은 12월에 행해졌다. 12월에 있었던 부여의 영고(迎鼓)를 제외하고 고구려의 동명(東明)과 동예의 무천(舞天), 삼한의 시월제 등은 10월에 하였다고 한다. 12월 축제는 대개 유목민의 전통인 사육제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10월에 행해지는 축제는 농사와 관련해서 추수 감사제의 의미를 담고 있다. 한 해의 힘든 노동을 통한 수확의 기쁨을 노래할 뿐 아니라 이러한 노력에 결실을 맺게해 준 하늘에 감사하는 의례가 함께 이어졌다. 농사는 공동체의 노동에 의지하는 일이 많으므로 그 결속을 다지는 일이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한편 집단의 규모가 커지고 집단 내의 계층화가 발생하게 되면서 이러한 축제방식도 변화를 겪게 된다. 이러한 실례는 고대국가로 성장한 부여의 영고와 고구려의 동명제의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이 두 제의는 제천의례(祭天儀禮)이자 국중대회(國中大會)라 하여 특정 지배층에 의해 하늘에 대한 제사가 독점되고 여기서는 한 해의 수확에 대한 감사의 의례만이 아니라 참석한 모든 이들의 복속의식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읍락단위의 신앙의례로 구성원 전체의 안녕을 기원하고 공동체원의 일체감을 형성하면서, 읍락의 생산활동과 관련하여 경제적 풍요를 기원하는 축제였다.

참고문헌

『후한서』
『삼국지』
『진서』
「한국 축제의 역사적 전개 양상」 (표인주, 『용봉인문논총』 34·35, 2005)
「삼국시대 읍락사회의 신앙의례와 그 변천」 (문창로, 『북악사론』 5, 1998)
「제천의례의 역사적 고찰」 (금장태, 『유교사상연구』 4·5, 1992)
집필자
정원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