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지우 ()

언론·방송
문헌
1929년에, 조선여성사에서 1천만의 여성들을 계몽하기 위하여 창간한 월간 여성 잡지.
이칭
이칭
『여성(女性)』
정의
1929년에, 조선여성사에서 1천만의 여성들을 계몽하기 위하여 창간한 월간 여성 잡지.
개설

1929년 1월 1일 조선여성사에서 1천만 조선여성들을 계몽하고자 창간한 잡지로 매월 1일에 발행하는 월간지였다. 1930년 10월호까지 발행하다가 잡지사를 확장이전하면서 1930년 11월 『여성』으로 잡지명을 개제하였다. 1930년 11월호의 발행 기록만 있고 실물은 확인되지 않지만, 발행인 김윤걸(金允杰)로 되어 있는 『여성』 3권 1호가 출판물 검열의 삭제대상에 포함되었다는 자료가 확인된다.

편찬/발간 경위

조선여성사에서 1929년 1월 1일에 조선여성의 눈과 귀가 되어 규방에 갇힌 1천만 여성들을 계몽하려는 취지에서 창간하였다. 매월 1회, 1일에 발행하는 월간 잡지다. 1929년 9월에 조선여성사와 평론사(平論社)가 합병하여 삼평사(三平社)라 개칭하고 『평론(平論)』과 『여성지우(女性之友)』 두 잡지를 별도로 발간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현존하는 1930년대 잡지의 발행소는 조선여성사 명칭을 그대로 표기하고 있다. 잡지에 대한 독자들의 호평으로 잡지사를 인사동으로 확장 이전하였고, 이를 계기로 잡지의 내용에 충실을 기하고자 1930년 11월호부터 잡지명을 『여성』으로 바꿔 발행하게 되었다.

서지적 사항

편집겸 발행인은 양천호(梁天昊), 인쇄인은 김윤걸인데 1929년 8월호에서는 김윤걸이 편집 겸 발행인이 되었다. 인쇄소는 창문사(彰文社)이며 발행소는 조선여성사다. 판형은 국판으로 국한문혼용체로 편집하였으며 분량은 창간호가 약 120쪽 분량이지만 , 제2호 이후는 대략 150쪽 분량으로 구성되었다. 가격은 1개월분 정가 30전(錢) 1년분은 3원 30전이었고, 배송료는 2전이다. 현재는 아단문고에 창간호, 1929년 2월호, 1929년 3월호, 1930년 첫돌 기념특집호, 1930년 4월호, 1930년 6월호 등이 소장되어 있으며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에도 소장되어 있다.

내용

기본적으로 표지, 사진, 목차, 본문, 편집후기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표지는 동시대 발간된 여성잡지들이 신여성의 세련된 헤어스타일, 혹은 양장하고 화장한 서구적 미인의 얼굴을 내세운 것과 달리 창간호임을 고려해 떠오르는 새해의 태양과 학 2마리의 그림을 넣었지만 3호나 4호에는 한복 입은 전통여인의 모습을 담고 있다.

본문의 내용은 논설문, 사회 각계각층 유명 인물들의 가치관이나 여성관, 혹은 당부의 글, 잡지사 기자들의 취재문, 시·소설·희곡 등의 문학 분야로 구분하여 편집하였다. 주간 김윤걸 휘하 최경혜(崔敬蕙), 엄흥섭(嚴興燮), 김철(金哲), 언론인 유광렬(柳光烈), 조동식(趙東植), 이성환(李晟煥), 김기전, 김기진, 최독견, 박달성 등 외에 근우회 중앙집행위원장 정종명(鄭鍾鳴), 근화여학교장 김미리사, 황애덕, 유각경 등 여성 필자가 글을 실었다.

의의와 평가

여학교순례기라는 특별코너를 두어 매 호에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이화여고, 개성호수돈여학교 등을 기자들이 직접 방문하였다. 그리하여 학교의 역사와 설립자 혹은 교장 및 교사, 학생들과의 인터뷰, 자세한 학교 소개 등을 실었는데, 이는 식민지시기 한국 여성교육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아단문고 미공개 자료 총서 2014: 여성잡지』 23, 24(소명출판, 2014)
「출판경찰개황(出版警察槪況): 불허가 압수 및 삭제 출판물 기사요지(不許可差押削除出版物 記事要旨)-『여성』 제3권 제1호」(『조선출판경찰월보(朝鮮出版警察月報)』 제28호(1930.12.4), 조선총독부, 1930)
『동아일보』(1929.1.5; 2.18; 4.6; 7.13; 9.15; 1930.1.6; 2.26; 10.15; 10.21)
『매일신보』(1930.10.20)
집필자
강영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