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정보사령부 ()

국방
단체
1990년에 설립된 해외 및 대북 군사정보 수집을 주임무로 하는 국방정보본부 예하 기능사령부.
이칭
약칭
정보사
단체
설립 시기
1990년
상위 단체
국방부 국방정보본부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국군정보사령부는 1990년에 설립된 해외 및 대북 군사정보 수집을 주임무로 하는 국방정보본부 예하 기능사령부이다. 대한민국 국군의 정보수집 및 첩보 업무를 수행하고, 주로 해외 및 대북 군사정보 수집과 기밀 첩보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영상정보와 인간 정보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다. 참고로 국방정보본부 예하에는 정보사령부와 신호정보를 담당하는 777사령부가 있다.

정의
1990년에 설립된 해외 및 대북 군사정보 수집을 주임무로 하는 국방정보본부 예하 기능사령부.
설립 목적

국군정보사령부(KDIC: Republic of Korea Defence Intelligence Command)는 대한민국 국군의 해외정보 전문 첩보부대로 1990년에 서울 서초동에서 창설된 부대이다.

국방정보본부령 제4조 2항에 의하면, 정보본부 예하에 다음 각 호의 부대를 두는데, 1호에는 “군사 관련 영상 · 지리공간 · 인간 · 기술 · 계측 · 기호 등의 정보(이하 영상정보 등이라 한다)의 수집 · 지원 및 연구에 관한 업무와 적의 영상정보 등의 수집에 대한 방어 대책으로서의 대정보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기 위한 정보사령부를 둔다.”고 명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국방부 지할부대인 국방정보본부 산하에 설치되어 있으며, 신호정보를 관장하는 777사령부와 함께 국방정보본부의 관리 · 통제 · 지휘를 받는다.

변천 및 현황

먼저, 육군의 정보부대는 1946년 1월에 군정청 국방 총사령부 정보과로 발족하여, 1946년 8월 조선경비대 총사령부 정보국을 거쳐, 11월 말 육군본부 정보국으로 개편되어 입수된 정보를 분석 판단하는 정보대인 1과로 불렸고, 후에 육군 정보대(MIG: Military Intelligence Group)가 된다. 1950년 7월에 육군본부 정보국 내에 공작과가 만들어져 주로 첩보를 담당하는 2과(HID: 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로 불리다가, 1951년 3월에 독립된 첩보부대가 되었다. 첩보분견대본부(HID)는 1961년 7월 육군 첩보대(AIU: Army Intelligence Unit)로 개칭하고, 1972년 2월 정보대(MIG)와 첩보대(HID)를 통합해 육군정보사령부(AIC: Army Intelligence Command)가 되었다.

둘째, 해군의 정보부대는 1948년 9월 해군 작전국 내 정보과로 발족하여, 1954년에 해군 정보부대로 개편되었다. 1955년부터 자체적으로 해군 첩보 수중파괴단(UDU: Uunderwater Demolition Unit) 요원을 선발했다. 1970년 이전까지 해군 정보부대(NIU: Navy Intelligence Unit) 내 해상정찰대의 UDT(Underwater Demolition Team) 요원 등을 해군첩보 수중파괴단으로 불렸고, UDT부대에서 북파공작원을 직접 양성 후 해군 정보부대에 전속하였다. 1971년 5월 5일에는 해군첩보부대령에 의해 UDT교관단으로 구성된 해군 첩보부대 교육대가 설치되면서 공식적으로 UDT라고 불렀다.

셋째, 공군의 정보 부대는 1954년 9월 미 극동공군이 일본으로 이전함으로써 미 6006부대가 사라지게 되자, 20특무전대(AISU: Airforce Intelligence Service Unit)가 6006부대의 임무를 떠맡았다. 일명 실미도 부대라 불리는 684부대가 바로 20특무전대 소속 부대 중 한 부대였다.

1990년 9월 29일 육 · 해 · 공군 3군 정보부대를 통합해, 기존에 있던 육군의 정보사령부(AIC), 해군의 첩보부대(UDU), 공군의 20특무전대(AISU)가 국군정보사령부가 되었다. 그리고 1999년 3월 30일에 국방정보본부로 편입되었다.

참고로 2013년 이전까지 정보사령부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있었지만, 2013년에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으로 이전하였다.

의의 및 평가

정보사령부는 군의 정보기관이다. 주 업무는 북한을 포함한 해외 첩보 및 기밀업무이며, 전세계 모든 군사집단을 상대로 한 전략, 전술, 무기 장비, 기술, 연구 현황은 물론 관련 인프라와 경제 상황 등에 관한 정보수집과 분석 등이 포함된다. 해외 휴민트(HUMINT: human intelligence) 및 군사정보 등의 특수 영역에 집중된 임무를 수행하기에 일반인 출신이 절대다수인 타 정보기관들에 비해 소속 개인, 편제 차원 등 모든 면에서 훨씬 전문적인 수준의 실력을 갖춘 ‘군 첩보부대’이다. 또한, 대규모 수집분석 부서를 보유하고 있고, 방대한 양의 정보수집 자산과 부대와 연결되어 있기에 모든 정보분야에 있어 손꼽힐 정도로 뛰어난 역량과 탁월한 능력을 가진 부대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국방부, 『2022 국방백서』(국방부정책기획관실 국방전략과, 2023)

인터넷 자료

정보사령부(http://namu.wiki)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