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부(兵部)
다만 삼국통일 후 1명으로 감원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이 병부령은 상고의 대보(大輔)직에서 기원한다는 견해도 있는데, 관등이 대아찬 이상 태대각간(太大角干)까지인 자로서 임명하였으며, 또한 재상·사신(私臣)을 겸할 수 있었다. 하대에는 상대등으로 진출하는 하나의 경로가 되었다. 그밖에 관원으로 대감(大監) 3명, 제감(弟監) 2명, 노사지(弩舍知) 1명, 사(史) 17명, 노당(弩幢) 1명을 두었다. - 『삼국사기』 - 『신라정치제도사』(이인철, 일지사, 1993) - 「신라병부령고」(신형식, 『역사학보』 61, 1974) - 「三國史記にあらねわた新羅の中央 行政官制について」(井上秀雄, 『朝鮮學報』 51, 1969 ; 『新羅史基礎硏究』, 東出版, 1974) - 「新羅の宰相制度」(木村誠, 『東京都立大學 人文學報』 118,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