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金尙勳)
광복 직후 ‘조선문학가동맹’에 가담하였으며, 1946년 이병철(李秉哲)·박산운(朴山雲)·유진오(兪鎭五) 등과 『전위시인집(前衛詩人集)』을 발간하고 광복기 활발한 문학 활동을 하였다. 그의 시작품들도 대부분 이 때 쓰여진 것들이 많이 알려져 있다. 주요 작품으로 「편복(蝙蝠)」(학병, 1946)·「장렬(葬列)」(학병, 1946)·「시위행렬」(민심, 1946)·「맹서」(민심, 1946)·「전원애화(田園哀話)」(신천지, 1946)·「아버지의 창 앞에서」(문학, 1946)·「어머니」(문학, 1946)·「삼동」(서울신문, 1947)·「경부선」(신천지, 1948)·「밤」(새한민보, 1948)·「길닦기노래」(개벽, 1948)·「취월선생(醉月先生)」(개벽, 1949)·「소」(새한민보, 1949)·「국화」(문학, 1950)·「국토」(연합신문, 1950) 등이 있다. 그의 시의 내용을 살펴보면 일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