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철 ()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뒷골목이 트일 때까지」, 「묵밭」, 「편지」 등을 저술한 시인.
이칭
이칭
별칭 풍림(風林)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1년
사망 연도
1995년
본관
재녕 이씨
출생지
경상북도 영양
관련 사건
남로당 서울시문련예술과사건
정의
해방 이후 「뒷골목이 트일 때까지」, 「묵밭」, 「편지」 등을 저술한 시인.
개설

경상북도 영양 출생. 별칭은 풍림(風林).

생애 및 활동사항

1935년 만주의 유리공장 노동자로 일하면서 중등부 과정을 이수하였다. 서울로 돌아와 고모댁에서 1940년 혜화전문학교에 다니면서 한글연구가인 고모부 서승효의 민족운동에 영향을 깊이 받았다. 당시 조연현과는 동급생이었으며, 이병각, 이원조로부터 문학을 배웠다. 1943년 이원조의 추천으로 『조광』에 「낙향소식」을 발표하였다. 고모부 서승효는 조선어학회사건을 겪었으나 기소유예로 풀려난다. 이 시기 고향으로 내려와 농사를 지었다. 1945년 9월 중순부터 안동농림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좌익도서판매주식회사 영남지사를 경영하였다. 『신문예』에 「소」를 발표하였다. 1946년 상경하여 〈조선문학가동맹〉서울시지부 서기국 총무부원으로 활동하면서 김상훈, 상민, 유진오, 김광현, 박산운 등과 함께 『전위시인집』을 출간하였다.

1947년 『조선시인선집』에 「뒷골목이 트일 때까지」를 발표, 『신천지』에 「역두(驛頭)에서」, 『협동』에 「묵밭」, 「나막신」 등을 발표하였고, 『신천지』18에 「붉은 수의」, 「곡(哭)」(『문학평론』3호), 「목가지」(『문학』7호), 「수선화」(『민성』3호), 「교실에서」(『백제』), 「스타린 원수(元帥)」(『신조선』5), 「홍수」(『신천지』) 등을 발표하였다.

1948년 이화여자중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고 시 「편지」(『동국』1), 수필 「만년필 이야기」(『민성』), 평론 「시단월평」(『문장』)을 발표하였다. 1949년 이화여중 교사직을 사직하고 서울신문사에서 발행하는 잡지 『신천지』를 편집하면서 한하운 시인을 추천하였다. 1950년 남로당 서울시 문련예술과사건에 연루되어 서울형무소에 수감되었으나 한국전쟁의 상황 속에서 6월28일 출옥하여 7월25일 의용군 동원연설을 하고 가족을 데리고 9.28수복 때 월북하였다.

한국전쟁시기 종군작가로 참전하여 북한체제 이념을 전쟁승리로 연결시키는 작품을 창작하였다. 시 「종군작가는 손님일 수 없다」는 '1951년 7월 전선동부에서'라는 설명이 붙은 작품으로 병사처럼 무기를 들고 직접 싸우지 못하는 아쉬움을 통해 전투의지를 고취시킨다.

북한에서의 작품활동은 1995년 작고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1953년 남로당 숙청사건에 연루되지 않고 무사히 넘겼으며 북한문예총기관지인 『조선문학』에 「내일을 위하여」를 발표하였다. 대부분의 작품은 『조선문학』에 발표되어서 게재지를 생략하고 작품명만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957년 「환갑날」, 「휴가를 두고」, 「신혼부부」를 발표하였고, 1958년 「백령임 고개」, 「대열」을 발표, 1959년 「잠들 수 없구나」, 1960년 「붉은 언덕에서」, 「쏘비에트의 마음」(『청년문학』), 1961년 「새역사 첫장을 넘기며」, 「비단을 위하여」, 「하나가 천을 이기는」, 「더 늙을 수는 없다」, 1962년 「불멸의 이름 권영력」, 「탄부의 기쁨」, 1981년 「탄생」, 1982년 「긍지」, 1987년 「우리는 아침에 선다」, 1988년 「그들은 구면이었다」, 「그 목소리가 들려온다」 등이다.

시집 『내 삶의 한생은』은 『조선문학』에 발표한 작품을 유고시집으로 묶은 것으로 체제찬양과 선전을 담은 작품들이 주류를 이룬다. 이를 통해 월북 이후 이병철의 문학활동이 사회주의건설을 위한 체제선전에 목적을 둔 문학행위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대구,경북 근대문인연구』 (이강언, 조두섭, 태학사,1999)
「이병철 시연구」(한경희, 『어문학』82호, 한국어문학회, 2003)
집필자
한경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