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흡 ()

삼연집
삼연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삼연집』, 『심양일기』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자익(子益)
삼연(三淵)
시호
문강(文康)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53년(효종 4)
사망 연도
1722년(경종 2)
본관
안동
출생지
서울
정의
조선 후기에, 『삼연집』, 『심양일기』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서울 출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익(子益), 호는 삼연(三淵).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의 증손자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이며, 어머니는 안정 나씨(安定羅氏)로 해주목사 나성두(羅星斗)의 딸이다. 형은 영의정을 지낸 김창집(金昌集)과 예조판서 · 지돈녕부사 등을 지낸 김창협(金昌協)이다. 이단상(李端相)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과거에는 관심이 없었으나 아버지의 명으로 응시하여 1673년(현종 14) 진사시에 합격한 뒤 과장에 발을 끊었다. 백악(白岳) 기슭에 낙송루(洛誦樓)를 짓고 동지들과 글을 읽으며 산수를 즐겼다. 1681년(숙종 7) 김석주(金錫胄)의 천거로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아버지가 진도에서 사사되자, 주1에 은거하였다. 『장자』와 사마천(司馬遷)의 『사기』를 좋아하고 시도(詩道)에 힘썼으며, 친상을 당한 뒤에는 불전(佛典)을 탐독하여 슬픔을 잊으려 하였다. 그 뒤 주자의 글을 읽고 깨달은 바가 있어 유학에 전념하였다.

1696년 서연관(書筵官)에 초선(抄選)되고, 1721년(경종 1) 집의에 제수되었으며, 이듬해 영조가 세제(世弟)로 책봉되자 세제시강원(世弟侍講院)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임하고 나가지 않았다. 신임사화로 절도에 유배된 형 창집이 사사되자 지병이 악화되어 죽었다.

학문세계와 저서

김창흡은 형 김창협과 함께 성리학과 문장으로 널리 이름을 떨쳤고, 이기설에서는 이황(李滉)의 주리설(主理說)과 이이(李珥)의 주기설(主氣說)을 절충한 형 김창협과 같은 경향을 띠었다. 즉, 선한 정(情)이 맑은 기(氣)에서 나온다고 말한 이이의 주장에 반대하고 선한 정이 오직 성선(性善)에서 나온다고 말한 형 김창협의 주장에 찬동하였다. 또한 사단칠정(四端七情)에서는 이(理)를 좌우로 갈라 쌍관(雙關)으로 설명한 이황의 주장에 반대하고, 표리(表裏)로 나누어 일관(一關)으로 설명한 이이의 주장을 찬성하였다.

김창흡은 『중용』의 미발(未發)에 대해서도 깊이 연구하였다. 또한 인품(人品)을 6등으로 나누어 성인(聖人) · 대현(大賢) · 군자(君子) · 선인(善人) · 속인(俗人) · 소인(小人)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삼연집(三淵集)』 · 『심양일기(瀋陽日記)』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양주의 석실서원(石室書院), 양근(楊根)의 미원서원(迷源書院), 덕원의 충곡사(忠谷祠), 울진의 신계사(新溪祠), 양구의 서암사(書巖祠), 강릉의 호해정영당(湖海亭影堂), 포천의 요산영당(堯山影堂), 한성의 독충당(篤忠堂)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참고문헌

『삼연집(三淵集)』
『조선유학사(朝鮮儒學史)』(현상윤, 민중서관, 1954)
주석
주1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에 있는 이. 영중면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다. 남단부를 제외한 대부분이 산지이다. 영평천이 남쪽 경계를 따라 흐르며, 하천 주변에 농경지와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다. 37번 국도가 남쪽을 동서로 지나며, 유적으로 영평리 선정비(永平里善政碑)가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창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