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곡사 범종각 ( )

목차
관련 정보
대곡사 범종각
대곡사 범종각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중창된 종각. 사찰건물.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중창된 종각. 사찰건물.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겹처마 팔작지붕의 중층 누각건물. 198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사역(寺域) 일직선축의 대웅전보다 한 단 아래 위치한 범종루는 고려 공민왕 17년(1368)에 창건 된 후 정유재란 때 소실되어 1605년(선조 38) 대웅전과 함께 중창되었고, 1687년(숙종 13) 태전선사(太顚禪師)가 다시 중창 하였다고 전해진다.

종각은 막돌 덤벙주초를 놓고 그 위에 누하주를 세우고 멍에를 끼워 상부의 우물마루를 받았다. 공포는 외2출목, 내3출목으로 꾸몄으며 외부제공은 앙서형으로 되었으나 그 윗몸에 연꽃을 조각하였고, 내부 제공은 한몸으로 연결하여 초각하였는데 이는 대웅전의 조각수법과 비슷하다.

좁은 협칸에는 주간포를 1기 설치한 반면, 넓은 정칸에는 주간포를 놓지 않고 만개한 연화문양으로 초각한 화반(花盤: 주심도리 밑 장여를 받는 초새김한 받침)을 둔 특징이 있다. 또 공포는 외2출목이지만 귀포에서만은 3출목으로 짧은 외목도리를 하나 더 돌출시킨 것도 독특한 방법이다.

계자(鷄子) 난간을 두른 누각에는 법고(法鼓)·운판(雲版)·목어(木魚)를 설치하였으며, 범종은 용문사로 가져갔다고 전해진다.가구는 5량인데 방형의 대들보 위에 원형의 덧보를 포개어 두 개의 부재를 합쳐서 대들보를 만든 특징이 있다. 천장은 중앙에만 우물천장을 설치하고, 그 외 사방에는 빗천장을 꾸몄다.

외부에 돌출된 쇠서[牛舌]의 형상으로 보아서는 대웅전보다 시대가 다소 떨어지는 듯하지만 우물천장을 구성한 가구수법이 주목된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사찰전서』(불교시대사, 1996)
『경상북도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慶尙北道文化財指定調査報告書)』(경상북도, 198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일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