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포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제2차 왕자의 난에서 이방간을 꾀어 난을 일으킨 죄목으로 처형된 무신 · 공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400년(정종 2)
주요 관직
지중추원사
관련 사건
제1차 왕자의 난|제2차 왕자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에, 제2차 왕자의 난에서 이방간을 꾀어 난을 일으킨 죄목으로 처형된 무신 · 공신.
생애 및 활동사항

조선의 건국에 대장군으로서 공을 세워 개국공신 2등에 책봉되었다.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 평정에 공을 세워 지중추원사가 되었다.

이무(李茂)가 정사공신(定社功臣) 1등에 책봉된 것을 비방했다가 도리어 죽주(竹州)에 유배되었으나 얼마 뒤에 소환되었다. 그 뒤 제2차 왕자의 난에 간여하였다.

마침 회안군(懷安君) 이방간(李芳幹)의 집에 가서 장기를 두던 중 우박이 내리며 하늘에 붉은 빛이 나타나는 걸 목격했다. 겨울에 비가 오고 하늘에 요사한 기운이 있음을 들어 근신할 것을 이방간에게 청하였다.

그리고 군사를 맡지 말며 출입을 삼가고 의관을 정제해 행동을 신중히 하기를 고려조 자손인 여러 왕씨의 예와 같이 하라고 하였다. 이에 이방간은 그러한 방책을 못마땅하게 여기면서 또 다른 방책을 요구하였다.

그러자 박포는 “주(周)나라 태왕에게 아들 셋이 있었는데, 그 중 막내아들인 왕계(王季)에게 왕위를 전할 뜻이 있으므로, 왕계의 두 형인 태백(泰伯)과 중옹(仲雍)이 형만(荊蠻)으로 도망하던 것과 같이 하는 것이 옳다.”는 말을 전하였다.

그러나 이방간이 또 다른 방책을 요구하자 “정안군(靖安君)은 군사가 강해 많은 무리가 붙어 있고, 이방간의 군사는 약하며 위태함이 마치 아침이슬과 같으므로 먼저 선수를 써서 쳐부수는 것이 낫다.”고 하였다.

이방간이 이 말을 좇아 군사를 일으켰는데, 공신 중 박포와 장사길(張思吉)만이 따르고, 그 나머지는 모두 이방원(李芳遠: 뒤의 태종)을 좇았다. 이방간은 패하자 토산(兎山)으로 귀양을 가고, 박포는 이방간을 꾀어 난을 일으킨 죄목으로 죽음을 당하였다.

참고문헌

『태조실록(太祖實錄)』
『정종실록(定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해동잡록(海東雜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