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백우 ()

신백우
신백우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신민회, 대동청년단, 서로군정서, 광한단, 조선노동총동맹 등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이칭
경부(畊夫)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9년(고종 26)
사망 연도
1962년
본관
고령(高靈)
출생지
충청북도 청원
정의
일제강점기 때, 신민회, 대동청년단, 서로군정서, 광한단, 조선노동총동맹 등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고령(高靈). 호는 경부(畊夫). 충청북도 청원(淸原)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는 신채호(申采浩)와 함께 한학을 수학했으며, 서울의 측량학교 · 외국어학교와 보성전문학교 법학과를 수료하였다. 그 뒤 청주 측량학교와 서울 태극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한편 『소년(少年)』 편집에 관여하고, 신민회(新民會)와 대동청년단(大東靑年團)에 가입,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10년 국권 상실 뒤에는 국내외를 돌아다니며 만주에 성덕태상점(誠德泰商店)을 개설하는 등,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주력하였다.

3·1운동 후에는 상해(上海)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였는데, 신채호와 함께 이승만 노선(李承晩路線)에 반대하여 손을 떼었다. 그 뒤 만주의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와 광한단(光韓團)에서 활약하다, 1921년 귀국하여 조선노동공제회(朝鮮勞動共濟會)의 중앙집행위원이 되었다.

이어 무산자동지회 · 조선노동연맹회 · 신사상연구회 · 화요회 · 조선노농총동맹(朝鮮勞農總同盟) 등의 간부로 활약하였다. 이 때의 신백우는 사회주의자로서 1924년 공산주의운동 관계로 붙잡히기도 했는데, 1925년 출옥한 뒤에는 공산주의 계열과 손을 끊었다. 그 뒤 농촌운동과 고령신씨 문중 사업에만 열중하다가 광복을 맞았다.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중앙위원회 조직부장을 비롯해 대한독립촉성회 등을 통한 정치 활동을 전개하다가 1946년 중반 이후부터는 대종교 사업(大倧敎事業)에 전심하였다. 1955년에 원로원참의에 뽑히기까지 교회 내의 많은 자리를 거치면서 포교에 공헌이 컸다.

상훈과 추모

1963년 대통령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경부신백우』(신백우선생기념사업회, 1973)
『한국공산주의운동사』 2·3(김준엽·김창순, 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 1969)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후원회, 195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조동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