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가헌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우가헌유고
우가헌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정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정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11년에 손자 종경(鍾卿)·종대(鍾大)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복한(金福漢)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신장(申棖)과 종대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88수, 서(書) 12편, 권2에 서 24편, 권3에 잡저 4편, 권4에 부록으로 유사·행장·묘지명·제문·만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공자·맹자·안연(顔淵) 등 옛 성현의 인품과 공적을 기린 것, 진시황(秦始皇)·한고조(漢高祖)·한신(韓信) 등 중국의 역사적 인물을 주제로 한 것, 천리(天理)·성명(性命)·도학(道學) 등을 주제로 한 것 등이 있다.

그밖에 조병덕의 시에 차운한 것이 많다. 이 책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서는 대부분 학문을 논한 내용이며, 특히 조병덕과 『중용』의 내용 및 심성(心性)·이기(理氣) 등 성리학의 중요한 문제들을 토론한 것이 많다.

잡저의 「어록(語錄)」은 태극과 음양의 이치 등 성리학의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정호(程顥)·정이(程頤)·주희(朱熹) 등 여러 학자의 학설, 경전·예설 등에 대한 논평 등을 모아놓은 것으로, 특히 조선시대 성리학 가운데 인문성상이론(人物性相異論)을 주장한 호론(湖論)과 인물성상동론(人物性相同論)을 주장한 낙론(洛論)의 차이를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밖에 「가례변류(家禮變類)」는 변례(變禮)에 대하여 설명한 글로, 고축(告祝)에 관한 내용이 많다. 「소학의해편록(小學疑解編錄)」은 『소학』 가운데 어려운 구절이나 의심스러운 곳을 골라 원문과 함께 기존 학설 가운데 참고가 될만한 것이나 자신의 견해를 수록한 글이다. 부록에 실린 글은 조병덕(趙秉德)·임헌회(任憲晦) 등이 지었다.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