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해사 괘불탱 ( ▽)

목차
관련 정보
영천 은해사 괘불탱
영천 은해사 괘불탱
회화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은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은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
내용

199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750년(영조 26)에 보총(普摠)과 처일(處一) 두 화원(畵員)이 그렸다. 정면 불입상이 큰 화폭에 표현된 그림이다.

하단부의 연못에는 연봉오리와 황금색의 꽃술이 탐스러운 연꽃, 중단부는 모란과 연꽃 다발이 산화(散花)하는 모습, 상단부에는 영락(瓔珞: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이 화려한 보개(寶蓋) 주위로 모란 혹은 연꽃을 문 여섯 마리의 봉황새 등 배경이 설명적이다.

원형 두광(頭光: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을 지닌 불상은 두 어깨를 덮은 통견(通肩: 어깨에 걸침)의 법의(法衣: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를 걸쳤다. 그리고 오른손은 내리고 왼손은 가슴 앞에 두어 엄지와 중지를 맞댄 손 모양이다. 높은 육계(肉髻: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에 둥근 정상 계주(頂上髻珠)가 장식된 머리 모양이다.

반개(半開)한 눈과 작은 입의 얼굴 표정은 온화하다. 묵직한 법의에는 가로와 세로로 교차하는 줄무늬 안에 변형된 국화문이 빈틈없이 금으로 표현되어 있다. 적색과 녹색 위주이며 갈색, 하늘색, 감색 등 밝고 화려한 채색이 돋보인다.

붉은 테를 두른 화면 밖의 외연은 살색 바탕에 호분(湖粉: 흰 가루)으로 연당초 문양을 찍어낸 듯한 목판화의 효과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연속 문양 기법은 법의에도 사용되었다. 이 외연대 밖에도 좌·우에 각 33개의 원과 상(上)에 15개의 붉은 원 안에 범자(梵字)를 굵은 황색으로 한 자씩 써넣었다. 이 괘불탱에서 본격적인 범자 문양대가 나타나는데, 18세기에는 범자문 장식이 매우 성행하였다.

포(布)가 비칠 정도로 경쾌한 갈색의 밑바탕 칠에, 신체나 옷 등 질감의 변화에 따라 담채(淡彩: 엷은 채색)와 진채(眞彩: 진하고 강하게 쓰는 채색)를 병용하여 형상을 강조하였다. 괘불탱으로는 드물게 비단을 바탕 재료로 사용했기 때문에 삼베 바탕보다는 적과 녹색 등이 더 선명하고 우아하게 발색되었다.

연꽃이 만발한 연못에 서 있는 불상 주위로 극락새가 날고 꽃비가 내리는 신비한 불토(佛土)를 나타낸 배경 묘사는 독존 입상이 성행하는 18세기 괘불탱에 유행하였던 요소이다. 배경에 산화하는 꽃을 묘사한 예로 1684년 작 율곡사 괘불탱, 1725년 작 청량사 괘불탱을 들 수 있다.

권속이 축소된 영산회상도 괘불탱 중 석가모니불만을 배치한 독존 형식 괘불탱으로는 1622년 작 죽림사 괘불탱, 1673년 작 천은사 괘불탱이 있으며 18세기에는 특히 성행하여 1727년 작 미황사 괘불탱, 1753년 작 선암사 괘불탱, 1772년 작 개심사 괘불탱 등이 있다.

참고문헌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96-97 지정편(문화재관리국, 1998).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유마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