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충순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육군 보병 참위 출신의 의병.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7년 2월 8일
사망 연도
1907년
본관
전주(全州)
출생지
충청남도 홍성
주요 경력
육군 보병 참위
대표 상훈
건국포장(1977)|건국훈장 애국장(1990)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충순은 대한제국기 육군 보병 참위 출신의 의병이다. 1903년 육군무관학교 졸업 후 임관되어 몇 차례 전임된 후 1907년에는 서울시위대로 근무하였다. 1907년 8월 한국군의 강제해산령이 내리자 이에 불복하여 시위 제1연대 제1대대와 제2연대 제1대대가 합세하여 일본군과 교전하던 중 사망하였다.

정의
대한제국기 육군 보병 참위 출신의 의병.
가계 및 인적 사항

이충순(李忠純)은 1877년 2월 8일 충청도 홍주(지금의 충청남도 홍성)에서 부친 이병제(李秉濟)와 모친 한양조씨 사이에서 삼남 가운데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자는 경삼(景三)이고,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부친 이병제는 1894년 동학운동(갑오농민전쟁) 당시 연산현감을 지낸 바 있다. 조부는 동학운동 당시 반일 활동을 통해 농민군을 지원하였던 경력이 있다.

이충순은 1900년 10월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여 1903년 9월 졸업하였다. 1904년 6월 서울에 주둔한 친위보병 제1연대 제3대대에 견습 참위로 보임되었다. 이듬해인 1905년 4월에는 전라남도 광주에 주둔하던 진위보병 제4대에 전임되었고, 다시 같은 해 9월에 경기도 수원 주둔 진위보병 제1대대의 견습 참위로 보임되었다.

주요 활동

수원의 진위대에 배속된 이충순은 1906년 서울에 주둔하였다. 이어 그는 서울시위대 제2연대 제1대대의 견습 참위로 전임되어 군무에 봉직하였다. 한일 강제 병합을 위해 일제가 군대 해산을 감행하였을 때, 그는 서울시위대에 근무하고 있었다. 1907년 8월 1일 서울 시위대의 해산에 항거하여 군인들은 일본군을 상대로 남대문 부근에서 치열한 시가전을 벌였다. 이날 시위대군 전사자는 모두 79명으로, 이충순도 그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평가

이충순은 남상덕(南相悳)과 함께 남대문 시가전의 전사자 가운데 이날의 전투를 상징하는 인물로 역사상 기록되었다. 남상덕을 특기하는 이유는 일본군 대위 가지하라 요시히사〔梶原義久〕를 사살한 큰 전과를 올린 장본인이라는 데 있는 데 비해, 이충순을 기리는 이유는 효성과 애국정신을 겸비한 참된 군인상으로 평가한 데 있다. 서모 박씨가 가탁되어 이충순이 남긴 영결사(永訣辭)와 효행(孝行) 등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 결과 이러한 인물상이 형성되었던 것 같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국사펀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1(국사편찬위원회, 1965)

논문

박민영, 「대한제국 군인 이충순의 생애와 순국」(『한국독립운동사연구』 59,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