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개남(金開南, 1853~1895)은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출신으로 본관은 도강(道康)이다. 초명은 김영주(金永疇)이며, 자는 기선(箕先) · 기범(箕範)을 썼다.
동학에는 1890년경에 입도(入道)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학의 시천주(侍天主) 신앙과 후천개벽사상(後天開闢思想)에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수행과 포교에 힘써 1891년에 접주가 되었다. 같은 해에 동학의 제2대 교조 최시형(崔時亨)을 만나 가르침을 받았다.
한편으로 호남 지방 접주들과 자주 접촉을 하면서 친교를 맺게 되는데, 대표적인 인물이 고부 접주 전봉준(全琫準), 무장 접주 손화중(孫華中), 금구 접주 김덕명(金德明), 주산 접주 최경선(崔景善) 등이었다.
1892년 전라도 삼례(參禮) 지역에서 교조신원운동 당시에도 교도들을 이끌며 지도력을 발휘하였다. 이로 인하여 명성이 높아져 호남 지방의 동학 지도자가 되었다. 1893년 보은집회에서 수만의 동학 교도들이 모여 보국안민(輔國安民)과 척왜양(斥倭洋)의 깃발을 내걸고 시위를 벌였을 때, 또다시 호남 교도들을 동원하여 대접주(大接主)의 임첩(任帖)을 받았다.
그러나 두 차례의 시위가 성과 없이 끝나고 각지에서 동학 교도에 대한 가혹한 탄압이 가해지자, 남접(南接)의 강경파 접주들은 독자적인 대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1894년 초 전봉준이 고부민란(古阜民亂)을 주도하자, 손화중과 함께 동학군을 일으켜 4월에는 백산(白山)에 동학 운동본부인 호남창의소(湖南倡義所)를 설치하고 전봉준을 동도대장(東徒大將)으로 추대한 뒤 총관령(總管領)을 맡았다.
전주화약(全州和約) 이후 전라도와 경상도 사이 요충지인 남원을 공략하기 위해 대군을 동원하여 진입하였고, 남원 진입 후 적극 세력을 확장하였다. 전라도 동북부 군현들인 순창 · 용담 · 금산 · 장수 등지의 동학 조직을 장악하였으며, 경상도 함양과 안의까지 세력권 확대를 시도하였다. 이후로도 계속 남원에 주둔하였고 전라좌도를 관할하면서 폐정개혁을 추진하였다.
동학농민군 해산 후 재봉기를 처음 시도한 대접주도 남원의 김개남이었다. 김개남은 10월경에 수만 대군을 거느리고 임실을 거쳐 전주로 들어왔다. 전주감영에는 신임 인사를 하러 남원부사와 고부군수가 와 있었다. 김개남은 서슴지 않고 이들을 처형하였다.
10월 말에는 예하의 일대 병력을 금산으로 보내서 읍내를 점거하였다. 금산에 들어간 김개남군은 읍내에 호된 보복 행위를 자행하였다. 김개남군은 거쳐 온 군현마다 이러한 지나친 행위로 인해 인심을 잃고 말았다.
이후 11월 들어 북상할 계획을 시도하여 충청도 진잠현(鎭岑縣)을 점령하였고, 이튿날 신탄진(新灘津)을 거쳐 청주를 공격하며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장거리를 행군해 온 김개남군은 앞장선 일부가 청주성에 접근하였다가 기습을 당하며 무너졌다.
김개남군은 전라도로 돌아가서 더 이상 대군의 위세를 갖지 못하였다. 어떻게 해산하였는지도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김개남은 결국 체포되고 1895년 1월 8일 전주장대(全州將臺)에서 참수당하였다.